축산정보뉴스 안영태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최근 폭염으로 인한 가축 피해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앞으로도 폭염이 지속될 가능성이 커 과거와 다른 정부·지자체·유관기관 간 체계적 대응이 중요하다고 판단, 식량정책실장 주재로 축산분야 폭염 대비 추진 상황 긴급 점검 회의를 개최하고 「축산분야 폭염 피해 대책」을 발표하였다. * 7월 10일 기준 가축 526,006마리 폐사 신고 접수(돼지 19,768마리, 가금 506,238마리 등) 현재 가축폐사는 7월 10일 기준 약 53만 마리로, 돼지 사육마릿수 중 0.17%, 산란계 0.02% 등 수준이다. 유례없는 폭염으로 가축 폐사가 빠르게 증가하는 상황인 만큼 농식품부는 정부, 지자체, 농협, 생산자단체 등 주체별로 다음과 같이 대응하기로 하였다. 정부 우선 농식품부는 기존 축산재해대응반을 격상하여 농식품부·축평원·농협·지자체 등으로 「폭염 대응 가축 피해 최소화 TF」를 구성·운영(7~8월)한다. 이를 통해 피해 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유관기관에 협조 요청사항을 전파하는 한편, 실제 현장 수요를 매일 점검한다. 구체적으로 농가 피해·애로사항 지자체별 접수 담당자를 지정하는 한편, 지자체 가용 차
축산정보뉴스 안영태 기자 | ■ 2025년 6월 축산물 등급판정 물량 • 소 : 74,132두 - 전월(79,851두) 대비 7.2%(5,719두) 감소 - 전년 동월(76,959두) 대비 3.7%(2,827두) 감소 • 소(한우) : 66,324두 - 전월(71,353두) 대비 7.0%(5,029두) 감소 - 전년 동월(68,946두) 대비 3.8%(2,622두) 감소 • 돼지 : 1,388,621두 - 전월(1,500,709두) 대비 7.5%(112,088두) 감소 - 전년 동월(1,365,491두) 대비 1.7%(23,130두) 증가 • 닭 : 8,667천수 - 전월(9,314천수) 대비 6.9%(647천수) 감소 - 전년 동월(9,450천수) 대비 8.3%(783천수) 감소 • 오리 : 2,398천수 - 전월(2,234천수) 대비 7.3%(164천수) 증가 - 전년 동월(1,992천수) 대비 20.4%(406천수) 증가 • 계란 : 124,933천 개 - 전월(133,059천 개) 대비 6.1%(8,126천 개) 감소 - 전년 동월(103,461천 개) 대비 20.8%(21,472천 개) 증가 • 말 : 37두 - 전월(40두) 대비 7.5%(3두)
축산정보뉴스 안영태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올해 들어 구제역 발생으로 인해 축산농장에 내려졌던 이동제한 등의 방역조치가 지난 7월 8일자로 모두 해제됨에 따라 7월 9일부터 전국 모든 지역의 위기 경보를 관심 단계로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전남 영암군과 무안군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농장 등에 대한 임상·정밀검사에서 이상이 없었고* 발생 농장에서 사육하고 있던 감염 항체(NSP) 양성축에 대한 도태(도축장에서 도축)가 끝나는** 등 모든 방역 조치가 완료됨으로써 취해지게 되었다. * 올해 구제역이 발생한 농장(19호)과 방역대 농장(발생농장 반경 3km 이내 농장 407호)에 대한 구제역 임상검사 및 항원·항체 정밀검사, 축사 내·외부 및 기계·장비 등에 대한 환경검사에서 모두 이상이 없었음 ** 구제역 발생 농장에서 항원(바이러스)이 발견되진 않았지만 바이러스 감염의 흔적인 감염(NSP) 항체가 발견된 가축(27호, 677두)에 대해 도태 처리를 완료함 올해 들어 지난 3월 13일 전남 영암군에서 구제역이 처음 발생한 이후 4월 13일(32일간)까지 총 19건*이 발생하였다. * (지역별 발생) 영암 13건(소), 무안 6건(소
축산정보뉴스 안영태 기자 | 농촌진흥청은 제과·제빵 부산물이 양돈사료로 활용할 수 있을 수준의 에너지와 높은 단백질 소화율을 지녔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2024년 기준 국내 양돈농가의 비육돈 생산비는 마리당 42만1,000원이다. 이 중 사료비는 21만6,000원으로 생산비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이런 가운데 2023년 기준 곡물 자급률(사료용 포함)은 옥수수 0.8%, 대두 9.3%로 수입의존도가 높고 가격 변동성이 커짐에 따라 농가의 사료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농가의 사료비 절감을 위해 과자류, 빵류 식품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과·제빵 부산물의 영양소 가치를 평가했다. 연구진은 제과·제빵 부산물 3종(과자, 빵, 발효빵)과 옥수수를 육성돈에 7일간 급여했다. 이 기간에 배설물(분, 뇨)을 수거해 에너지 및 단백질 소화율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제과·제빵 부산물의 대사에너지는 1kg당 3,965~4,074kcal로, 옥수수(3,987kcal)와 유사하거나 더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단백질 소화율도 78.8∼82%로, 옥수수(80.3%)와 큰 차이가 없었다. 이번 연구는 일부 사료 제조업체에서 제한적으로 사용하던 제과·제빵 부산물
지난해 한돈산업을 위협했던 극심한 폭염과 고병원성 PRRS의 지속 유행, 그리고 전국적인 PED 확산은 2025년 상반기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로 인해 출하두수는 감소했고, 이는 지육단가 상승이라는 긍정적 효과로 이어졌다. 여기에 더해 글로벌 경제의 변동성과 국내외 정책 변수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산업의 흐름을 흔들었다. 본 기고에서는 2025년 상반기 한돈시장 동향을 돌아보고, 하반기 주요 이슈와 농가 대응 전략을 제언하고자 한다. 1. 상반기 시장 리뷰 : 공급 감소가 이끈 돼지가격 2025년 상반기 한돈산업은 수급 불균형이라는 키워드로 요약된다. 전년 대비 출하두수 감소와 수입량 급감 속에서 돼지가격은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지만, 소비 부진이 뚜렷해지며 산업 전반에 경고등이 켜졌다. 2025년 1분기 국내 돼지 사육두수는 1,079만두로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하며 5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특히 모돈수는 98만9천두로 0.7% 감소하였고, 배합사료 생산량은 4월까지 누계 기준 2.9% 줄었다. 이러한 지표는 농가의 자율적 감축과 질병 영향(PED, PRRS 등)에 따른 육성률 저하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실제 1~5월 도축두
올해 상반기 돼지고기 지육 도매시장 경락가격과 소비자가격은 과거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육류 내 대체 소비 수요, 주요국 수입물량 감소 등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내수 부진으로 가정 내 소비가 증가하고, 2분기 나들이 수요 속에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돼지고기 수요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당분간 국내산의 공급량 급증 가능성은 제한적이며 수입물량이 급증할 가능성도 작다. 5월부터 연말까지 가공식품 원료육에 대해 할당관세가 부과되고 있고, 이는 해당 부위의 수입 증가와 식품 가격을 안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1. 국내 경기 지표 동향 가계 생활형편전망 CSI(소비자동향지수)는 4월 92로 3월(92)과 동일한 모습을 보여 다시 정체되는 모습을 보인다. 외식비 지출 전망의 경우 느리지만 연초 대비 조금씩 회복을 시도하고 있다. 2. 공급 물량 2025년 5월 누계 돼지 등급판정두수는 8,005천두로 전년(8,281천두) 대비 3.3% 감소하였으나, 평년(7,864천두) 대비는 1.8% 증가하였다. 1월과 2월이 전년 대비 상반되는 그래프를 보이는 것은 설날(구정) 성수기가 2025년은 1월 하순에 2024년은 2월 상순에 있는
1. “덥다. 조금 더운 것이 아니라 진짜 진짜 덥다.” 아열대 현상으로 우리나라의 뚜렷한 4계절은 여름이 길고 겨울이 짧은 2계절로 점점 바뀌고 있다. 제주도에서 재배 가능한 열대 과일들이 전라남도나 경상남도에서도 재배가 가능해지고 청송, 충주나 문경에서 많이 생산되던 사과가 강원도에서도 생산이 가능해진다. 더불어 바다의 고기들도 잡히던 지역에서 점점 북상하여 잡히는 등 이상(異常) 계절이 이렇듯 지구가 점점 더 온난화되어 가다니… 라떼는 선풍기나 부채 바람으로도 온 가족이 여름을 이겨 내었는데 이제는 에어컨이 없으면 살 수가 없을 것 같다. 더우면 고기이든 맛있는 밥이든 식욕을 떨어뜨려 덜 먹게 된다. 그러면 고기 소비도 당연히 감소할 것이다. 그런데 그러지를 않으니… 여름 휴가 때 준비를 꼭 해가는 것이 고기들이다. 가져가면 땀을 뻘뻘 흘리면서도 구워 먹거나 삶아서 수육으로 먹거나 밥을 먹을 때 고기가 없는 경우가 드물다. 그리고 식당에 가도 에어컨이 빵빵하게 나와서 고기를 구워 먹는데, 큰 불편함이 없다. 특히 고기를 구워 후식으로 물냉면이나 비빔냉면이랑 함께 먹으면… 우와 생각만 해도 필자의 입에는 지금 침이 고이게 된다. 그러나 돼지들은 어떨까?
1. 2025년 상반기 한돈산업 동향 (1) 사육 동향 2025년 3월 돼지 전체 사육 마릿수는 전년(1,176만마리) 대비 1.0% 감소한 1,164만4천마리였다. 이 중에서 모돈 사육 마릿수는 전년(96만9천마리) 대비 1.5% 감소한 95만4천마리였고, 자돈 사육 마릿수는 전년(399만7천마리) 대비 1.3% 증가한 405만마리였다. 육성돈 사육 마릿수는 전년(335만4천마리) 대비 1.4% 감소한 330만7천마리였고, 비육돈 사육 마릿수는 전년(331만8천마리) 대비 3.4% 감소한 320만7천마리였다. 모돈 사육 마릿수는 2025년에도 지속되고 있는데 월평균 전년 대비 1% 내외 수준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반면 자돈 사육 마릿수는 월평균 전년 대비 1% 내외 수준으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어, 모돈 생산성이 과거와 비교해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2) 도축 동향 2025년 1~5월 누적 도축 마릿수는 1~5월 누적 도축 마릿수는 전년(827만8천마리) 대비 3.3% 감소한 800만4천마리였다. 3~4개월 전 육성돈 사육 마릿수(이력제)를 고려할 때 상반기에 월별로 도축 가능한 마릿수는 전년과 비슷하였지만, 연휴 등으로 작업 일수가 감소하면
축산정보뉴스 안영태 기자 | 한돈미래연구소(소장 이도헌)에서 발행한 한돈리포트 2025년 7월호(VOL 15)를 소개합니다. 한돈리포트 7월호는 아래의 첨부파일에 있는 한돈리포트 2025년 7월호(VOL 15) pdf를 클릭하여 자료를 다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한돈리포트 7월호 내용은 ▲수급동향 : ‘25년 상반기 한돈산업 수급동향, ▲전망 : 한돈팜스 수급전망 보고서,▲경영 : 2024년도 평균 농가 수익성 분석, ▲전산성적 : 2024년 한돈팜스 전산성적, ▲해외동향 : 스페인 양돈산업의 이해와 고찰, ▲해외전망 : 글로벌 돼지고기시장 전망 등을 담고 있습니다.
축산정보뉴스 안영태 기자 | 한돈미래연구소에서는 2025년 4월 한돈팜스 전산성적 보고서를 발표했다. 2025년 4월 한돈팜스 전산성적 보고서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 첨부문서 pdf를 클릭하여 자료를 다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