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계묘년 새해가 시작된 것이 엊그제 같은데 어느새 올해도 마지막으로 접어들고 있다. 코로나 엔데믹 첫해인 2023년의 하반기 돼지고기 시장 상황은 갑작스러운 국내 및 해외 여건 변동으로 시장이 변화하여 상반기에 예상했던 것과는 조금 다른 모양새로 흘러가고 있다. 앞으로도 어찌 시장이 변화할지 불투명한 상황이라 어느 때보다 전망하기 어려운 상황이므로 지난 10월 말 현재 기준 시점으로 시장동향과 간단한 전망을 해보고자 한다. 1. 2023년 하반기 돼지고기 시장동향 올해 10월까지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는 전년 동기 대비 약 1.6% 증가한 15,347.8천 마리로 나타났다. 사육 마릿수가 ‘23.9월 기준 11,398천 마리로 전년 대비 0.6% 증가에 그쳤지만, 농가 생산성 향상으로 출하는 더욱 늘어났다. 하지만 출하가 증가했음에도 도매시장 경매 마릿수는 농가의 상장기피 현상이 이어지며 전년 대비 약 6% 가까이 감소하였다. 돼지 지육가격은 소비악화로 인해 삼겹살 등의 판매가 저조해지며 10월까지 평균 5,177원/kg(제주도 및 등외등급 제외)에 형성되어 전년 대비 0.7% 소폭 하락을 나타냈다. 소비시장 상황은 삼겹살과 목심 등의 구이류는 불경기
우리나라 경제 전반에 걸쳐 불경기가 심각하게 나타나 국민이 가처분소득 감소 및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소비지출을 줄이고 있다. 여기에 더해 지난 3년간 코로나 팬데믹으로 거의 중단되었던 해외여행이 올해 엔데믹 첫해를 맞이하며 3년간에 대한 보복 소비로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적·경제적 여건으로 국내 소비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좀처럼 생기지 않고 있다. 돼지고기 가공유통업계에서 20~30여 년간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들조차 “올해와 같이 이렇게 힘든 적은 거의 없었던 것 같다”고 하소연할 정도로 상황이 좋지 않다. 1. 상반기 돼지고기 시장 동향 올 상반기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1.1% 증가한 9,377.3천마리로 나타났다. 사육 마릿수가 ‘23.6월 기준 11,108천마리로 전년 대비 0.5%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농가 생산성 향상으로 출하는 오히려 늘어났다. 하지만 출하가 증가했음에도 도매시장 경매 마릿수는 농가의 상장 기피로 오히려 전년 대비 약 7% 가까이 감소하였다. 이에 따라 돼지 지육가격은 상반기 평균 5,056원/kg(제주도 및 등외 등급 제외)에 형성되며 전년 대비 1.6% 상승을 나타냈다(표 1). 소비측면에
질병·방역·위생
양돈장의 늘어난 가을철 불청객 : 위궤양 / 박건욱 원장
조합
도드람, 맛있는 축제 '2025 도드람 페스타 : THE GRILLIST' 개최
사료·종돈
농협사료, '농심천심(農心天心)' 정신 농업인과 함께하는 상생 실천
동약·첨가제
세바코리아, ‘환절기 흉막폐렴 컨트롤 전략’ 웨비나 개최
기관·단체
(사)대한한돈협회 손세희 회장 ‘축산전문지 기자간담회’ 개최
기관·단체
(사)한국양돈연구회, 제44회 전국양돈세미나 개최 … 제26회 한국양돈대상 시상식 진행
질병·방역·위생
우리 농장 호흡기 질병 현황판, 도축장 폐 병변 검사 / 박새암 팀장
사료·종돈
선진, ‘2025 별이야 페스티벌-스타필드X안성문화장 희망나눔 먹거리축제’ 지역상생 푸드쇼 펼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