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들어가며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 hyo)는 전 세계 양돈산업에 있어서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질병이며, 유행성 폐렴(EP) 및 돼지 호흡기 복합 증후군(PRDC)의 주요 원인체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M. hyo에 감염된 돼지는 마른기침(가래가 나오지 않는 기침)을 주 증상으로 나타내며, 돼지 기도에 존재하는 섬모(필터 역할 수행)의 손상과 면역 시스템 교란으로 인해 면역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M. hyo는 다른 바이러스 및 세균의 감염을 용이하게 하여 전반적인 피해 규모를 확대한다. M. hyo에 의해 발생하는 유행성 폐렴(EP)은 대부분 만성 형태로 진행되며 높은 이환율과 낮은 폐사율, 그리고 성과 지표의 저하를 특징으로 한다. 육성-비육돈에서 주로 발생하고 폐사율이 높지 않아 간과되기 쉬우나 일당증체량(ADG), 사료 요구율(FCR) 및 출하일령에 영향을 미쳐 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야기한다. M. hyo는 돼지 호흡기 복합 증후군(PRDC)에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혼합 감염을 유발하여 높은 폐사율과 경제적 손실을 유발한다. 이외에도 M. hyo 음성돈군이 양성 전환되면서 큰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지속적
1. 들어가며 PRRS는 대한민국 양돈산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질병이며, 다양한 형태로 과거부터 현재까지 많은 농가에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고 있다. PRRS바이러스의 경우, 바이러스가 전파 및 복제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변이주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질병을 컨트롤 하는 과정에서 생각보다 큰 비용과 노력이 요구될 수 있다. 특히 작년부터 큰 이슈가 되고 있는 고병원성 북미형 PRRS바이러스의 등장 이후에는 기존에 알고 있었던 지식과 노하우에 대한 의심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다소 기본에서 벗어난 방법들까지도 PRRS 컨트롤에 동원되면서 오히려 더 큰 피해가 누적되고 있다. 필자는 모든 질병을 컨트롤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본이라고 생각하는 돼지 수의사이다. 질병에 따라 세부적인 모습은 다를 수 있다. 하지만 근본적인 뿌리는 같으며, 기본이 갖춰지지 않은 컨트롤 방법은 결국 실패할 수밖에 없는 법이다. 이번 글에서는 필자의 이러한 생각을 담아 PRRS 컨트롤의 기본에 대하여 공유해 보도록 하겠다. 2. PRRS 컨트롤의 기본 (1) 순치 농장에 존재하는 PRRS바이러스를 후보돈에게 노출하는 일은 그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모
질병·방역·위생
양돈장의 늘어난 가을철 불청객 : 위궤양 / 박건욱 원장
조합
도드람, 맛있는 축제 '2025 도드람 페스타 : THE GRILLIST' 개최
사료·종돈
농협사료, '농심천심(農心天心)' 정신 농업인과 함께하는 상생 실천
동약·첨가제
세바코리아, ‘환절기 흉막폐렴 컨트롤 전략’ 웨비나 개최
기관·단체
(사)대한한돈협회 손세희 회장 ‘축산전문지 기자간담회’ 개최
기관·단체
(사)한국양돈연구회, 제44회 전국양돈세미나 개최 … 제26회 한국양돈대상 시상식 진행
질병·방역·위생
우리 농장 호흡기 질병 현황판, 도축장 폐 병변 검사 / 박새암 팀장
사료·종돈
선진, ‘2025 별이야 페스티벌-스타필드X안성문화장 희망나눔 먹거리축제’ 지역상생 푸드쇼 펼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