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국내 스마트축산 성과와 발전 방향 / 이정용 본부장
국내 축산업은 높은 사료비와 농촌 고령화, 악취(분뇨) 환경문제, 가축질병 외에도 경영비 절감, 탄소저감, 동물복지 확산 등 중대한 현안을 안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축산의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축산분야 ICT 융복합 확산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축산은 ICT를 기반으로 한 센싱기술과 4차산업 기술이 적용된 IoT 장비를 활용한다고 볼 수 있다. ICT 장비로 축산환경을 제어하고 가축 행동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이상 징후 발생 시 즉각적인 조치뿐 아니라 선제 대응도 가능하다. 또한 수집된 정보는 다각도 알고리즘 분석으로 구조적인 농장의 현안을 해결할 수도 있다. 본 고에서는 2024년 축산분야 ICT 융복합 확산사업의 성과를 점검하고 양돈분야의 스마트축산 성과와 발전 방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 스마트 장비 보급확산 국내 축산농가에 개체관리가 가능한 생체인식 센서를 기본으로 사양·경영분석, 분뇨·악취저감, 농장 환경 컨트롤 및 에너지 효율화 등 관련 ICT 장비가 확산·보급되고 있다. 2014년부터 시작된 축산분야 ICT 장비 보급은 2023년 전업농가 기준 약 23.1% 수준이며 정부는 2027년까지 40%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ICT 장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