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한두봉)은 오는 1월 16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 월드 크리스탈볼룸(3층)에서 ‘한국 농업·농촌, 변화를 준비한다’를 주제로 ‘농업전망 2025’ 대회를 개최한다. 28회를 맞이한 농업전망 대회는 농업인, 산업계, 학계, 중앙과 지자체 농정 담당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한 해의 농정을 전망하고 발전 방안을 논의하는 농업 분야 대표 행사다. 이번 대회는 현장에서 진행되며 실시간 생중계도 제공된다. 자세한 내용은 농업전망 홈페이지(www.aglook.kr 또는 농업전망.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농업전망 2025 대회는 △농정 방향과 한국 농업 미래, △2025년 농정 이슈, △산업별 수급 전망과 현안을 주제로 총 3부로 구성된다. 1부에서는 ‘농정 방향과 한국 농업 미래’를 주제로 염재호 국가인공지능위원회 부위원장이 ‘AI시대 문명사 대전환 : 농업혁신의 가능성’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한다. 이어서 김용렬 KREI 농업관측센터장이 ‘2025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에 대해 김상효 KREI 동향분석실장이 ‘2025년 농정이슈’를 발표한다. 2부는 ‘2025년 농정이슈’를 주제로 △시장대응강화, △농업구조전환, △농촌과 삶의 3개 분과로
축산정보뉴스 안영태 기자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에서 발표한 축산관측동향(젖소) 2024년 9월호 내용을 소개한다.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 축산관측동향 2024년 9월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국제곡물 2024년 9월호에서 3분기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는 전 분기 대비 하락을 전망했다. 상승요인은 유럽 밀·옥수수 생산량 감소로 프랑스·독일 밀 주산지 다습한 기상과 루마니아·불가리아 등 옥수수 주산지 건조 상승을 꼽았다. 반면 하락요인은 미국 옥수수·콩 풍작에 대한 기대감으로 2024/2025년 생산량 전월 대비 상향 전망이다, 또한 흑해산 저가 밀 수출 지속을 꼽았다. ■ 사료원료 가격지수 동향 8월 수입사료원료 가격지수는 전월(139.7) 대비 2.2% 하락, 전년 동월(167.0) 대비 16.1% 하락한 137.4로 나타났다. - 전월 대비 : 대미환율 1.2% 하락, 옥수수 수입단가는 전월과 비슷하나 대두박과 기타 부원료 가격 하락 - 전년 동월 대비 : 대미환율 3.7% 상승하였으나 주요 사료 원료 수입단가 20% 내외 하락 영향 ■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 동향 8월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 동향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밀은 269달러/톤으로 전월 대비 2.6% 상승, 전년 대비 21.2% 하락, ▲옥수수는 246달러/톤으로 전월과 비슷, 전년 대비 23.5% 하락, ▲대두박은 459달러/톤으로 전월 대비 2.6% 하
축산정보뉴스 안영태 기자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FTA 이행지원센터에서 발표한 2024년 2분기(4~6월) FTA 체결국 농축산물 수출입 동향 중 주요 축산물 품목별(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수출입 동향을 소개합니다. ■ 쇠고기 ■ 돼지고기 ■ 닭고기 ■ 2024년 4~6월 축산물 모니터링 품목별 수입 동향 ■ 2024년 1~6월 모니터링 품목별 수입동향 ■ 2024년 1~6월 모니터링 품목별 수출 동향 ■ 모니터링 품목별 국내산 가격 동향 ■ 주요 축산물의 FTA 체결국가별 협정관세율 ■ 자세한 2024년 2분기FTA 체결국 농축산물 수출입 동향은 아래의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국제곡물 2024년 7월호에서 3분기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는 전 분기 대비 강보합세 전망이라고 밝혔다.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 상승요인은 북반구 주요국 기상 변동성 확대이며, 하락요인은 2023/2024년 남미 옥수수 수확 원활, 국제유가 전망치 하향 조정 등으로 분석했다. ■ 선물가격지수 전망 3분기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는 전 분기 대비 0.6% 상승, 지난해보다 10.2% 하락한 122.0 전망이다. - 전 분기 대비 : 일부 주산지의 기상 변동성 확대에 따른 생산량 감소 및 공급 차질 우려로 소폭 상승 전망이지만 2023/2024년 남미 옥수수 수확이 양호하고 국제유가 전망치 하향 조정 등은 하락요인이다. - 전년 동기 대비 : 미국·유럽 등의 가뭄에 다른 주요 곡물 생육 부진 우려, 흑해곡물협정 연장 불확실성 등으로 가격이 높았던 지난해보다 하락 전망이다. ■ 사료원료 가격지수 동향 6월 수입사료원료 가격지수는 전월(146.9) 대비 2.4% 하락, 전년 동월(170.3) 대비 15.8% 하락한 143.4로 나타났다. - 전월 대비 : 대미환율 0.8% 상승에도 옥수수와 주요 박류 수입단가 하락 영향 - 전년 동월 대비
축산정보뉴스 안영태 기자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에서 발표한 축산관측동향(젖소) 2024년 6월호 내용을 소개한다.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 축산관측동향 2024년 6월호】
축산정보뉴스 안영태 기자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에서 발표한 축산관측동향(산란계) 2024년 6월호 내용을 소개한다.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 축산관측동향 2024년 6월호】
축산정보뉴스 안영태 기자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국제곡물 2024년 6월호에서 2~3분기 곡물 선물가격은 주요 곡물 수출국의 기상악화로 상승 전망되나 전년 및 평년 대비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 선물가격지수 전망 2분기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는 전 분기 대비 4.4% 상승, 전년 동기 대비 16.1% 하락한 124.4 전망이다. - 전 분기 대비 : 북반구 곡물 주산지 이상 기상 발생 및 2023/2024년 남미 옥수수·콩 생산량 하향 조정 등 주요 곡물 공급량 감소에 대한 우려로 가격 상승하나, 전년 및 평년 대비 낮은 수준일 것으로 전망 - 전년 동기 대비 : 미국 주요 곡물 양호한 생육 및 흑해곡물협정 연장에 따른 공급량 증가 기대감으로 지수 하락했던 전년 동기 대비 하락 ■ 사료원료 가격지수 동향 5월 수입사료원료 가격지수는 전월(149.1) 대비 0.2% 하락, 전년 동월(175.1) 대비 15.0% 하락한 148.8로 나타났다. - 전월 대비 : 옥수수와 대두박 수입단가 소폭 상승에도 기타 박류 수입단가와 대미환율 0.2% 하락 영향 - 전년 동월 대비 : 대미환율 2.8% 상승하였으나 옥수수와 밀, 기타 박류 등 수입단가 하락 영향
축산정보뉴스 안영태 기자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국제곡물 2024년 5월호 발표에서 2분기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는 흑해지역 원활한 밀 공급 지속 및 중국의 곡물 수입 수요 둔화 등으로 전 분기 대비 2.0% 하락 전망이라고 밝혔다. 한편 사료용 곡물은 전 분기 대비 0.9% 하락, 전년 동기 대비 15.8% 하락 전망이라고 밝혔다. ■ 선물가격지수 전망 2분기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는 전 분기 대비 2.0% 하락 전망이다(전년 동기 대비 19.6% 하락한 119.8). - 전 분기 대비 : 흑해지역의 원활한 밀 공급 및 중국의 곡물 수입 수요 둔화 등으로 완만한 가격 하락 지속 전망이다. 하지만 감산 우려와 북반구 주요 곡물 파종기의 기상 불확실성 확대로 가격 하락폭이 제한적이다. - 전년 동기 대비 : 흑해곡물협정 연장(5월 17일)과 미국의 원활한 곡물 생육에 따른 공급량 증가 기대감으로 지수 하락했던 전년 동기 대비 큰 폭 하락 전망이다. ■ 사료원료 가격지수 동향 4월 수입사료원료 가격지수는 전월(145.3) 대비 2.2% 상승, 전년 동월(175.1) 대비 15.2% 하락한 148.5로 나타났다. - 전월 대비 : 옥수수와 대두박 수입단가
축산정보뉴스 안영태 기자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FTA 이행지원센터에서 발표한 2024년 1분기(1~3월) FTA 체결국 농축산물 수출입 동향 중 주요 축산물 품목별(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수출입 동향을 소개한다. ■ 쇠고기 ■ 돼지고기 ■ 닭고기 ■ 2024년 1~3월 축산물 모니터링 품목별 수입 동향 ■ 2024년 1~3월 축산물 모니터링 품목별 수출 동향 ■ 2024년 1~3월 축산물 1분기(2024년 1~3월) 가격 ■ 주요 축산물의 FTA 체결국가별 협정관세율
질병·방역·위생
양돈장의 늘어난 가을철 불청객 : 위궤양 / 박건욱 원장
조합
도드람, 맛있는 축제 '2025 도드람 페스타 : THE GRILLIST' 개최
사료·종돈
농협사료, '농심천심(農心天心)' 정신 농업인과 함께하는 상생 실천
동약·첨가제
세바코리아, ‘환절기 흉막폐렴 컨트롤 전략’ 웨비나 개최
기관·단체
(사)대한한돈협회 손세희 회장 ‘축산전문지 기자간담회’ 개최
기관·단체
(사)한국양돈연구회, 제44회 전국양돈세미나 개최 … 제26회 한국양돈대상 시상식 진행
질병·방역·위생
우리 농장 호흡기 질병 현황판, 도축장 폐 병변 검사 / 박새암 팀장
사료·종돈
선진, ‘2025 별이야 페스티벌-스타필드X안성문화장 희망나눔 먹거리축제’ 지역상생 푸드쇼 펼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