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는 겨울 철새 북상 완료(3월) 전까지 기존 AI 발생 인근 지역에 대한 검사·예찰·소독 강화 등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8일 이후 2월 22일까지 가금농장 고병원성 AI 발생은 총 45건(오리 22건, 산란계 14, 육계·토종닭·메추리 등 9)으로 1월 말 한파로 소독이 어려워짐에 따라 2월 초 서해안 지역(경기·충청·전북)에서 일시적으로 발생이 증가하였다가 최근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 농식품부는 겨울 철새의 북상이 완료(3월)*되기 전까지는 오염원 확산 우려가 남아 있어 지속적인 방역관리를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최근 AI가 발생한 경기·충청·전북 등 위험지역에 대해 특별방역단(20개반 40명)을 파견하여 농장 방역실태를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있으며, 동진강·삽교호 등 서해안 지역 철새도래지와 농장 진입로 등에 대한 강도 높은 소득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 (참고) 작년 월별 철새마리수 : (’21.1월) 148만수 → (‘21.2월) 86만수 → (’21.3월) 47만수 또한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농장 인근 지역(발생농장 반경 3km 내)에 대해 ①가금 정기검사 주기 단축(1주일 → 5일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겨울 철새 북상 완료(3월) 전까지 기존 AI 발생 인근지역에 대한 검사·예찰·소독 강화 등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8일 이후 2월 20일까지 가금농장 고병원성 AI 발생은 총 44건(오리 21건, 산란계 14, 육계·토종닭·메추리 등 9)이며, 이는 전년 동기(100건) 대비 56% 감소(그중 산란계는 67% 감소, 42건→14) 한 수치이다. 1월 말 한파로 소독이 어려워짐에 따라 2월 초 서해안 지역(경기·충청·전북)에서 일시적으로 발생이 증가하였다가 최근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 *주차별 AI 발생 건수: (1월 4주차) 3건 → (2월 1주차) 6 → (2주차) 9건 → (3주차, 2.14~20) 1 농식품부는 겨울 철새의 북상이 완료(3월)*되기 전까지는 오염원 확산 우려가 남아 있어 지속적인 방역관리를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최근 AI가 발생한 경기·충청·전북 등 위험지역에 대해 특별방역단(20개반 40명)을 파견하여 농장 방역실태를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있으며, 동진강·삽교호 등 서해안 지역 철새도래지와 농장 진입로 등에 대한 강도 높은 소득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식품·유통
농촌진흥청, 유산균으로 발효 육제품 곰팡이 억제 … 현장 기술 실증
조합
도드람양돈농협, ‘2025 한돈인 한마음대회’에 2천만원 후원
기관·단체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해외 축산 정보 동향 보고서(곤충산업 현황 등)’ 발간
기관·단체
한우자조금, ‘한우농가 디지털정보 활용 및 생산성 향상’ 국제 심포지엄 성료
동약·첨가제
한국베링거인겔하임동물약품㈜, ‘M.HYO INSIGHT(엠하이오 인사이트) 세미나’ 성료
기관·단체
한돈협회 이기홍 회장, 2035 온실가스 감축목표 공청회 참석 … 현장 중심 해법 제시
번식·육종
종돈개량 관련 용어, 이 정도는 알고 가자. / 최임수 박사
양계
농림축산검역본부, AI 항원뱅크 최신 백신 후보주 선정으로 국내 유입 대비
사료·종돈
농협사료, 제28회 전국한우능력평가대회 4개 부문 수상
기관·단체
한우자조금, ‘2025년 한우사랑 장학금’ 전달식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