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사다난했던 2024년을 뒤로 하고 지혜와 부귀, 행운을 상징한다는 뱀의 해가 시작되었다. 지난 해는 국내 경기 침체와 돼지고기 수입 급증의 영향으로 상반기 돈가 부진, 고병원성 PRRS, PED 확산, 지속적인 ASF의 발생, 민원 및 축산정책 관련 정부의 강경한 방침, 여전히 높게 유지되고 있는 생산비 등 많은 요소들이 우리의 경영을 어렵게 만들었다. 경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많은 요소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 우리 힘으로 준비할 수 있는 내부적인 경영 계획을 수립하여 외부의 위해 요소에 적극적으로 대비할 수밖에 없다. 유동성 확보를 위한 현금의 확보, 농장 건물과 설비의 개보수, 수준 높은 농장 직원의 확보, 철저한 방역 시스템 구축 등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양돈사업 유지를 위한 준비사항은 다양하다. 돈가의 등락이나 생산비의 상승에도 생산성이 높은 농장들의 수익성을 확보하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다산성 번식돈이 국내 도입된 지 오랜 시간이 지났으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번식성적은 양돈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번식성적 개선 없이 생산성 개선은 내 이야기가 아닌 남의 이야기일 뿐이다. 우리가 원하는 높은 수준의 번식성적을 달성
1. 들어가며 PRRS는 대한민국 양돈산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질병이며, 다양한 형태로 과거부터 현재까지 많은 농가에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고 있다. PRRS바이러스의 경우, 바이러스가 전파 및 복제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변이주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질병을 컨트롤 하는 과정에서 생각보다 큰 비용과 노력이 요구될 수 있다. 특히 작년부터 큰 이슈가 되고 있는 고병원성 북미형 PRRS바이러스의 등장 이후에는 기존에 알고 있었던 지식과 노하우에 대한 의심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다소 기본에서 벗어난 방법들까지도 PRRS 컨트롤에 동원되면서 오히려 더 큰 피해가 누적되고 있다. 필자는 모든 질병을 컨트롤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본이라고 생각하는 돼지 수의사이다. 질병에 따라 세부적인 모습은 다를 수 있다. 하지만 근본적인 뿌리는 같으며, 기본이 갖춰지지 않은 컨트롤 방법은 결국 실패할 수밖에 없는 법이다. 이번 글에서는 필자의 이러한 생각을 담아 PRRS 컨트롤의 기본에 대하여 공유해 보도록 하겠다. 2. PRRS 컨트롤의 기본 (1) 순치 농장에 존재하는 PRRS바이러스를 후보돈에게 노출하는 일은 그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