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추워지고 건조한 겨울이 되면 양돈장에서는 여러 종류의 질병이 더욱더 많이 발생해 더 큰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겨울철에는 바이러스가 더 쉽게 전파되는 환경이기 때문에 바이러스성 질병인 PRRS, SI, PED 등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다만 질병은 하나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병원체, 사육 환경, 스트레스 등 여러 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 그래서 각각의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 및 그에 따른 예방 전략을 소개하고자 한다. 1. 겨울철 다발하는 호흡기 질병 (1) 마이코플라즈마성 폐렴(유행성폐렴) 유행성폐렴이라고 알려진 마이코플라즈마성 폐렴은 국내의 거의 모든 농장에 상재해 있는 질병이다. 마이코플라즈마성 페렴은 이유 초기부터 문제가 될 수 있고 보통은 육성, 비육구간에서 문제를 일으킨다. 마이코플라즈마 단독 감염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건조하고 얕은 연속된 기침을 하며, 피모가 거칠어지고, 증체율의 감소 등 다소 경증의 증상을 보이게 된다. 하지만 마이코플라즈마 감염 이후 2차적인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감염은 중증의 호흡기 질환으로 전환이 되기 때문에 중요한 병원체로 관리하여야만 한다. 특히 다른 병원체(PRRS, 돼지인플
여름이 가고 겨울이 오고 있다. 언제 더웠냐는 듯이 추위가 찾아왔다. 한파를 위한 보온작업과 사양관리를 시작할 때가 되었다. 이를 위해 농장에서 즉시 수행할 수 있는 기본 관리 포인트 4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4가지 관리 포인트는 쉽게 간과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미쳐 놓쳤던 부분이라면 즉시 시행에 옮기는 것을 권장한다. 1. 겨울철 돈사 내 발생하는 결로관리 겨울철 농장에서 최소환기를 운영하지만, 농장시설과 환경에 맞지 않는 환기 운영으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주요 문제는 ①돈사의 내/외부 온도차이 발생, ②입기구 주변으로 결로현상 발생, ③결로현상으로 인한 돈사 바닥과 벽면이 젖는 현상 발생, ④체감온도 저하, ⑤호흡기 증상으로 폐사 발생 등의 패턴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는 육성사에서 주로 발생하며 직접 외부 공기가 들어오는 환기 구조를 가진 농장에서 발생한다. 실제 근본적인 해결은 예열공간을 확보하여 외부 공기를 데운 후 입기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하지만, 시설 변경이 어려운 경우에는 입기덕트 아래 파이프를 설치하여 결로현상으로 발생하는 물을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2. 돈사 내 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