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4년 7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2% 하락한 120.8포인트**를 기록하였다. 품목군별로 유지류, 육류 및 설탕 가격은 상승하였으나 곡물과 유제품 가격은 하락하였다. * 유엔 식량농업기구는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개)을 조사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작성, 발표(2014-2016년 평균=100) ** (’24.2월) 117.4 → (3월) 119.0 → (4월) 119.3 → (5월) 120.6 → (6월) 121.0 → (7월) 120.8 정부는 일부 식품 원재료의 국제가격 상승에 따른 식품기업의 경영 부담 완화 및 소비자 물가 안정을 위해 원당·설탕·해바라기씨유 등 식품 원재료에 대해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또한 여름 휴가철 수요가 많은 돼지고기 가격 안정을 위해 주요 대형마트 등에서 할인 행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돼지·닭 농가의 폭염 피해 최소화를 위한 현장 기술지원도 하고 있다. ■ 2024년 7월 품목군별 가격지수 변동원인 ☞ 7월 곡물 가격지수 : 110.8포인트(전월 115.2포인트 대비 3.8% 하락) 북반구에서 겨울밀(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4년 1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1.0% 하락한 118.0포인트**를 기록하였다. 품목군별로 곡물 및 육류 가격은 하락하였으나 유지류, 유제품 및 설탕 가격은 상승하였다. * 유엔 식량농업기구는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개)을 조사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작성, 발표(2014-2016년 평균=100) ** (’23.8월) 122.0 → (9월) 121.9 → (10월) 120.9 → (11월) 120.8 → (12월) 119.1 → (’24.1월) 118.0 ■ 2024년 1월 품목군별 가격지수 변동원인 ▶1월 곡물 가격지수 : 120.1포인트(전월 122.8포인트 대비 2.2% 하락) 1월 국제 밀 가격은 하락하였다. 수출국간 가격 경쟁이 지속되고, 남반구에서 최근 수확된 밀이 공급되기 시작한 것이 밀 가격 하락의 원인이었다. 옥수수 가격도 하락하였다. 아르헨티나에서 옥수수 작황이 개선되고 수확이 시작되었으며, 미국산 옥수수도 공급이 증가했기 때문이었다. 반면 쌀의 경우 인디카종을 중심으로 인도네시아에서 수입이 증가하며 가격이 상승하였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3년 12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1.5% 하락한 118.5포인트**를 기록하였다. 품목군별로 유지류, 육류 및 설탕 가격은 하락하였으나 곡물, 유제품 가격은 상승하였다. * 유엔 식량농업기구는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개)을 조사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작성, 발표(2014-2016년 평균=100) ** (’23.7월) 124.1 → (8월) 121.6 → (9월) 121.5 → (10월) 120.4 → (11월) 120.3 → (12월) 118.5 ■ 2023년 12월 품목군별 가격지수 변동원인 - 12월 곡물 가격지수 :122.8포인트(전월 121.0포인트 대비 1.5% 상승) 12월 국제 밀 가격은 상승세로 전환되었다. 주요 수출국에서 기상 여건으로 물류 장애가 발생한 것과 흑해 지역의 국제적 긴장 고조, 굳건한 밀 수요 등이 주요 원인이었다. 옥수수 역시 브라질의 작황 우려, 우크라이나 물류 여건 악화 등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였다. 국제 쌀 가격은 인디카 종을 중심으로 상승하였는데, 인도의 쌀 수출 제한 및 베트남의 공급량 부족이 가
1. 2023년 배합사료 생산 결산 및 전망 가. 2023년 가축 사육동향 및 전망 2023년의 가축 사육 마릿수를 축종별로 살펴보면 먼저 돼지의 경우 2019년 농장에서 처음 발생한 ASF(아프리카돼지열병)가 2019년 14회, 2020년 2회, 2021년 5회, 2022년 7회에 이어 2023년에도 11월까지 10회 발생한 가운데 농장 생산성 향상에 따라 2023년 3분기 사육 마릿수 전년 같은 기간보다 0.6% 증가하였다. 하지만 지속적인 모돈 사육의향 감소에 따라 12월에는 9월보다 2.8% 감소세가 전망된다. 한육우의 경우 2023년 5월, 4년여 만의 구제역이 한우농장에서 11차례 발생하였고 지나 10월에는 럼프스킨 처음 발생하는 등 한우산업 전반을 위협하고 있는 상황에서 3분기 사육 마릿수 전년 대비 0.1% 증가하였다. 하지만 연말에는 감소세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되고 젖소의 경우에는 송아지 생산 잠재력이 하락하면서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한편 2022년 10월 발생한 고병원성 AI가 2023년 4월까지 이어졌으나 예방적 살처분 마릿수가 최소화되고 노계 도태 연기 등에 따라 2023년 3분기 닭 사육 마릿수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0.4% 증가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3년 10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21.3포인트) 대비 0.5% 하락한 120.6포인트**를 기록하여 완만한 하락세를 유지하였다. 유제품 가격은 상승하였으나 곡물, 유지류, 육류 및 설탕 가격은 모두 하락하였다. * 유엔 식량농업기구는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개)을 조사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작성, 발표(2014-2016년 평균=100) ** (’23.5월) 124.1 → (6월) 122.7 → (7월) 124.1 → (8월) 121.6 → (9월) 121.3 → (10월) 120.6 <2023년 10월 품목군별 가격지수 변동원인> ■ 10월 곡물 가격지수 : 125.0포인트 (전월 126.3포인트 대비 1.0% 하락) 미국에서 밀 수확량이 예상치보다 증가함에 따라 국제 밀 가격은 하락하였다. 옥수수는 아르헨티나산 공급량이 감소하여 가격이 상승하였으나, 미국에서 수확이 진행되고 브라질산 수출도 증가하여 상승폭은 크지 않았다. 쌀의 경우 전 세계적인 수요 감소 추세에 따라 국제 가격이 하락하였다. ■ 10월 유지류 가격지수 : 120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3년 9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21.6포인트) 대비 0.1% 하락한 121.5포인트**를 기록하면서 거의 같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유지류, 육류, 유제품 가격은 하락하였으나 곡물 가격과 설탕 가격은 상승하였다. * 유엔 식량농업기구는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개)을 조사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작성, 발표(2014-2016년 평균=100) ** (’23.4월) 127.7 → (5월) 124.1 → (6월) 122.7 → (7월) 124.1 → (8월) 121.6 → (9월) 121.5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2년 12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35.0포인트) 대비 1.9% 하락한 132.4포인트**를 기록하였다. 곡물, 유지류 및 육류 가격은 하락하였고 유제품 및 설탕 가격은 상승하였다. 2022년 12월 곡물 가격지수는 2022년 11월(150.1포인트) 대비 1.9% 하락한 147.3포인트를 기록하였다. 밀은 남반구에서 수확이 진행되면서 공급량이 증가하여 가격이 하락하였다. 옥수수는 아르헨티나의 가뭄 관련 우려에도 불구하고, 브라질로부터의 공급량 증가가 가격을 하락시켰다. 유지류의 경우, 전월(154.7포인트) 대비 6.7% 하락한 150.1포인트를 기록하였다. 팜유는 주요 생산국에서 홍수로 산출량이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수입 수요 둔화의 영향으로 가격이 하락하였다. 대두유는 남미에서 계절적 영향으로 생산량 증가가 전망되며 가격이 하락하였다. 육류의 경우, 전월(115.2포인트) 대비 1.2% 하락한 113.8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소고기는 주요 생산국가의 도축용 소 공급 증가 및 국제 수요 부진에 따라 가격이 하락하였다. 가금육은 조류인플루엔자 심화에 따른 공급량 저하에도 불구하고 수출 가능 물량이 수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2년 11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35.9포인트) 대비 소폭 하락한 135.7포인트*를 기록하였다. 곡물, 육류 및 유제품 가격은 하락하였고 유지류 및 설탕 가격은 상승하였다. * (’22.5월) 158.1 → (6월) 154.7 → (7월) 140.6 → (8월) 137.6 → (9월) 136.0 → (10월) 135.9 → (11월) 135.7 2022년 11월 곡물 가격지수는 2022년 10월(152.3포인트) 대비 1.3% 하락한 150.4포인트를 기록하였다. 국제 밀 가격은 러시아의 흑해 곡물 수출협정(Black Sea Grain Initiative) 복귀에 따라 하락하였으며, 미국산 밀의 높은 가격으로 인한 수입 수요 감소, 러시아로부터의 밀 공급량 증가 등도 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옥수수 역시 흑해 곡물 수출협정 연장 및 미국 미시시피강의 수위 회복에 따른 물류 여건 개선의 영향으로 가격이 하락하였다. 유지류 가격의 경우, 전월(151.3포인트) 대비 2.3% 상승한 154.7포인트를 기록하며 7개월 만에 가격이 올랐다. 팜유는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이 수입 수요를 증가시켰고, 또한 동남아시아 지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2년 7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54.3포인트) 대비 8.6% 하락한 140.9포인트**를 기록하였다. 5개 품목군의 가격이 모두 하락하면서 2008년 10월 이후 가장 큰 하락 폭을 기록하였으며, 특히 곡물과 유지류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였다. * 유엔 식량농업기구는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 가격동향(95개)을 조사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작성, 발표(2014~2016년 평균=100) ** (’22.1월) 135.6 → (2월) 141.1 → (3월) 159.7 → (4월) 158.4 → (5월) 157.9 → (6월) 154.3 → (7월) 140.9 2022년 7월 곡물 가격지수는 2022년 6월(166.3포인트) 대비 11.5% 하락한 147.3포인트를 기록하였다. 국제 밀 가격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 흑해 항구 봉쇄 해제 합의, 북반구의 수확 진행 등의 영향으로 크게 하락하며 전체적인 곡물 가격 하락을 이끌었다. 옥수수 역시 러-우 합의, 수확 진전 등에 따라 가격이 하락하였다. 유지류의 경우 전월(211.8포인트) 대비 19.2% 하락한 17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1년 10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29.2포인트) 대비 3.0% 상승한 133.2포인트를 기록하였다. 5개 품목군 중 곡물과 유지류 지수의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곡물은 2021년 9월(132.8포인트)보다 3.2% 상승한 137.1포인트를 기록(전년 동월 대비 22.4% 상승)했다. 밀은 특히 캐나다, 러시아, 미국 등 주요 수출국의 수확량 감소로 국제시장에서 가용물량이 부족하고, 고품질 밀 공급량이 감소하면서 가격이 상승하였다. 옥수수는 에너지 시장(에탄올 등)의 호조에 힘입어 가격이 상승하였으나 미국산 공급량이 증가하는 계절이고 항만시설 운영이 원활해지면서 추가적인 가격 상승은 제한되었다. 보리는 수요가 많으나 생산량 전망치가 하향 조정되고 타 품목가격이 상승한 영향으로 가격이 상승하였다. 육류는 2021년 9월(112.8포인트)보다 0.7% 하락한 112.1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22.1% 상승)했다. 돼지고기는 주로 중국의 수입 감소로 가격이 하락하였다. 쇠고기는 브라질 내 광우병 발생에 따른 중국 등 주요 교역국의 수입 중단으로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가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