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방역·위생 돼지열병백신 지금은 바꿔야 할 때입니다 / 최세은 연구사
돼지열병(Classical Swine Fever : CSF)은 전염성이 높은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전 세계적으로도 주요 동물 질병으로 인식되어 세계동물보건기구(world organisation for animal health : OIE)에서는 중요 돼지 질병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법정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있다. 돼지열병 바이러스(Classical Swine Fever Virus; CSFV)는 돼지와 멧돼지에서 감염을 유발하는 심각하고 전염성이 높은 바이러스로서 경제적, 위생적 측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돼지열병이 발생하면 세계동물보건기구에 신고해야 한다. 아래에서는 돼지열병의 국내 발생 현황과 이를 예방하고자 개발된 백신들의 사용현황 등을 지면을 통해 소개함으로써 향후 양돈농가에서 돼지열병 예방을 위한 백신 선정 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한다. 1. 국내 돼지열병 발생사 돼지열병은 2000년대 중반 이전에는 ‘돼지콜레라(Hog Cholera)’라고 명명되었으나 2000년대 중반 이후 전 세계적으로 ‘돼지열병(Classical Swine Fever : CSF)’이란 명칭으로 통일 변경되었다. 문헌에 의하면 우리나라 돼지열병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