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작하며 비육돈이 최고의 환금성(換金性, cashability : 돈으로 교환 가능한 성질)을 갖는 시기는 두말할 것 없이 바로 출하체중에 도달했을 때일 것이다. 농장의 사육환경이나 사료 조건에 따라서 이 ‘출하체중’이 농장마다 차이를 나타낸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보통 농장의 출하체중은 등지방 두께에 따라서 결정 난다. 등지방 두께가 두꺼운 농장은 상대적으로 낮은 출하체중 단계에서 돼지를 출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등지방이 얇은 농장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출하체중에서 돼지를 출하하는 것이 현재의 등급제 상태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필자의 경험으로 등지방 두께는 계절과 성별의 영향도 받는데 보통 여름이 다른 계절보다 등지방이 얇고, 거세돈은 암퇘지보다 등지방이 두껍다는 것이 일반적인 농장에서 관찰되는 모습이다. 2. 수익성 개선을 위해 농가가 신경 써야 하는 주요 시설과 환경관리 (1) 환기 겨울철 현장에 다녀보면 돈사를 꽁꽁 싸매서 한겨울임에도 불구하고 돈사 내부 온도를 과도하게 높게 유지하는 경우를 많이 목격할 수 있다. 보통 돼지 사육에 권장되는 온도는 (표 1)과 같다. 육성·비육돈 구간에서 권장되는 온도는 10~25°C 사이다. 그런데
2019년 ASF 최초 발생 이후 햇수로 4년째가 되었다. 환경부는 2022년 봄, 멧돼지 확산을 막기 위한 광역 울타리 설치 계획을 슬그머니 철회했고, 일부 기사에 따르면 본인들의 권한 밖에 있는 전국 양돈농장에 대한 차단방역을 강화하겠다고 이야기했다고 신문기사에서 읽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ASF를 막는다는 이유로 경기 북부와 강원도 지역 농가들에 대해 권역간 돼지·분뇨의 이동금지조치 등 다양한 규제를 진행하고 있는데, 23번째로 확진된 강원도 양구의 농가는 이 때문에 분뇨처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불가피하게 악취 민원을 유발하게 되었고, 결국 ASF 감염을 계기로 폐업 처리했다는 내용은 뉴스 어디에도 나오지 않는다. 이번 원고는 아직 8대 방역시설을 설치하지 않은 아랫녘의 농장들을 위해 8대 방역시설 설치 전 농장의 사전 점검 사항, 그리고 농림축산식품부에 요구할 사항을 말하겠다. 1. ASF는 공기로 전파되지 않는다. 농가에 8대 방역시설 컨설팅을 위해 방문하다 보면 8대 방역시설로 ASF가 막히겠냐는 자조적인 말을 하곤 한다. 필자는 8대 방역시설이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지만 막을 수는 있다고 말한다. 우리에게 익숙한 PRRS, FMD 등은 사람에게 심각
기관·단체
한돈협회 이기홍 당선인,“책임 통감, 화합으로 나아가겠다”
식품·유통
한우자조금, 11월 1일 ‘대한민국이 한우먹는날’ 맞이 소비자 감사 한우 할인행사 진행
기관·단체
한국종축개량협회, 제28회 전국한우능력평가대회 제2차 추진위원협의회 개최
기관·단체
한돈자조금, 김장 나눔 캠페인 10월 27일부터 신청 받아
기관·단체
축산물품질평가원, 사랑의 연탄 나눔으로 이웃에 따뜻한 온기 전해
질병·방역·위생
양돈장의 늘어난 가을철 불청객 : 위궤양 / 박건욱 원장
조합
도드람, 맛있는 축제 '2025 도드람 페스타 : THE GRILLIST'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