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사양 우리 농장 무너진 수태율 어떻게 끌어올릴 것인가? / 정윤수 수의사
1. 시작하며 무너진 수태율이란 일시적으로 수태율이 떨어졌다기보다 수개월에 걸쳐 수태율이 낮게 유지되는 것을 말한다. 수개월에 걸쳐 수태율이 낮다면 보통 대부분 사람을 바꿔야 한다고 얘기한다. 하지만 질병이나 환경과 같이 외부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면 능력 있는 사람도 성적을 내기 어려운 것이다. 사람을 바꾸기 전에 어떠한 문제로 인해 수태율이 나오지 않는지 외부 전문가나 자체 점검을 통해 확인해 볼 필요성이 있다. 다음은 수태율이 오랜 기간 회복이 안 되고 지속해서 문제가 되는 농가에서 점검해보아야 할 부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수태율이 낮은 농장 특성 수태율이 낮은 농가에서는 우선 분만복수를 유지하기 위해 교배두수를 가능한 많이 가져가야 하므로 재발 등 문제돈을 쉽게 도태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모돈두수가 늘어나고, 모돈수가 늘어나 있다 보니 후보돈 도입률도 많이 떨어진다. 그리고 점점 문제돈이 늘어나면서 재발돈 교배 비율이 증가하게 된다. 이처럼 수태가 잘되지 않고 지속해서 재발이 되거나 발정 지연이 이어지다 보면 교배사 체류 기간이 길어지고, 프로그램으로 접종 중인 모돈 백신의 면역 공백이 생기면서 질병 문제도 추가로 발생한다. 또한 교배사 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