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팜텍(주)의 이규희 대표가 지난 11월 28일 ‘양돈농장 복지인증요인과 생산성 관계 분석을 통한 동물복지 효율성 연구’의 건국대학교 박사논문 최종 심사를 통과하여 경영공학박사 취득했다고 밝혔다. 이번 논문은 양돈장 동물복지요인에 대한 생산 효율성 척도로 연간출하두수(MSY)와 일당증체량(DWG)을 종속변수로 두고 동물복지 인증기준 15개 항목을 ▲시설환경, ▲사육관리, ▲방역 및 기타, ▲급이·급수 4개 영역으로 분류하여 생산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AHP가중치 조사에 의한 결과값을 바탕으로 동물복지와 생산현황을 답변한 32개 농장에 대하여 동물복지점수(Animal Welfare Point; AWP)를 산출하였고, 투입지향 DEA 분석하면서 AHP 가중치를 적용한 DEA AR를 분석하여 동물복지 효율성 분석하여 농장주의 동물복지 최적화 값을 산출하였다. 양돈농장 답변에 기초한 동물복지점수와 DEA 분석 결과인 생산 효율성 값의 비교분석을 통해 규모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생산 효율성을 고려한 동물복지요인의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특히 현행 양돈농장 동물복지인준 일반기준에서 동물약품 사용 제한조항과 벌칙이 효율적인 동물복지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해당 항목을 항생제
양돈에서는 2013년부터 동물복지 인증제를 하고 있지만, 동물복지로 인한 시설투자 대비 수익성 문제나 사육두수 감소 인식의 영향으로 산란계나 육계에 비해 저조한 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양돈장의 생산성 지표인 일당증체량과 MSY가 동물복지 수준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살펴보고, 동물복지인증 기준 항목 중 양돈장에서 어느 것에 우선 투자해야 높은 동물복지점수를 얻으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 계층화분석) 기법을 사용한 논문이 발표됐다. 이규희 대표(이화팜텍)와 송재옥 부원장(한국정책평가연구원), 최승철 교수(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식품유통경제학과 학과장)는 공동연구로 ‘AHP를 이용한 양돈농장 동물복지 수준 평가’ 논문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7월호에 게재했다고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양돈장의 동물복지와 일당증체량 및 MSY 등 생산성 지표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당증체량은 10% 이내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MSY는 유의성은 없었지만 동물복지 향상에 약간의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양돈장 동물복지 수준 평가를 위한 항목들의 가중치 결과는 동물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