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사양 이유 스트레스 저감을 통한 건강한 자돈 생산 방안 / 김진수 교수
1. 머리말 한국인의 식탁이 변했다. 이제는 ‘밥심’이 아닌 ‘고깃심’이다. 2023년 기준 1인당 육류 소비량은 60.6kg으로 같은 해 쌀 소비량인 56.4kg을 훌쩍 넘어섰다. 그중에서도 특히 돼지고기는 소득 증가와 더불어 캠핑·야외활동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필수 음식으로 자리매김했다. 그 결과 양돈산업의 생산액은 2000년 이후 약 7조원이 증가하며 국가의 주요 산업으로 성장했다(통계청, 2024). 이러한 비약적인 양돈산업 성장의 주역을 꼽자면 다산성 모돈의 도입이다. 말 그대로 ‘다산’을 통한 사육두수의 증가이다. 하지만 생시체중과 균일도가 감소하고 낮은 성장률로 출하기간이 길어지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또 폐사율이 증가하면서 모돈 한 마리당 매년 약 3두의 자돈이 출하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장주들은 자돈 한 마리라도 더 살려 출하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유기 자돈은 매우 위태로운 시기를 겪는다. 이유 후 갑작스러운 환경변화로 인해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으며, 미숙한 소화 기능과 낮은 면역력으로 매우 취약한 시기이다. 이에 따라 성장 정체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농가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돈사 환경을 개선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