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장 자돈의 일생 중 스트레스가 극대화되는 이유기를 지나 육성기에 이르면 본격적으로 근육이 불어나고 어느 정도 안정적 성장기에 진입하였다고 볼 수 있다. 비육 단계를 거쳐 출하에 이르기까지 자돈의 정상적인 성장은 농가에게 경제적 이익을 안겨줄 뿐 아니라 소비자에게 건강한 먹거리를 제공하는 데 의미가 있다. 이러한 자돈의 성장 과정서 발생하는 질병 문제는 그 원인이 다양하고, 발생한 원인의 파악을 위해서는 근본적인 사양 시스템의 점검이 필요하기도 하다. 따라서 농장 내 질병 문제에 대한 원인 파악은 경제적 손실을 막는 첫걸음이라 할 수 있겠다. 이번 호에서는 육성 및 비육돈 단계의 질병 폐사 원인을 여러 관점으로 살펴보고, 농장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요소에 집중하고 효과적인 점검을 계획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1. 육성·비육돈의 주요 질병 원인 포유 및 초기 이유자돈과 비교하여 육성 및 비육기 자돈의 질병에서는 임상 증상의 특징을 정확히 분석하고, 발병 원인에 따라 감염성과 비감염성 질병을 제대로 감별하는 것이 중요 포인트라 하겠다. (표 1)에서와 같이 감염성 질병에서는 주로 전신성 증상을 유발하는 병원체와 깊게 관련되어 있다. 일부 제1종 법정가축전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 중에 양돈장에서 가장 힘든 시기는 여름일 것이다. 땀샘이 없는 돼지 특성상 더위 스트레스에 매우 취약하여 번식 호르몬은 물론 성장에도 직격탄을 맞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혹서기에 주로 발생하는 번식돈, 비육돈의 폐사 원인을 살펴보고 예방하는 방안을 기술하고자 한다. 1. 더위 스트레스에 가장 취약한 구간은 어디인가? 더위에 가장 취약한 구간이 어디인지 파악해야 한다. 돼지는 여름철에 피부에 물을 적신 후 물이 증발하는 과정으로 열을 배출한다. 체중이 많을수록 대사에너지는 많아지므로 혹서기 때는 체중이 많은 모돈과 비육돈은 자돈보다 더 많은 열을 배출해야 한다. 그러나 체중 대비 피부의 면적을(체표면적) 비교하면 체중이 많을수록 체표면적은 작아서 모돈과 비육돈이 더위 스트레스에 가장 취약하다. 다시 말하면 더위 스트레스로 인한 피해는 모돈과 비육돈에 집중된다. 매년 여름철마다 관에서 나눠주는 비테인제재는 모돈과 비육돈에 첨가하고 남는다면 자돈에 첨가하면 된다. 에어컨/쿨링패드와 같은 설비도 우선적으로 모돈과 비육돈에 설치하고 여유가 된다면 자돈에 설치하시길 권장한다. 2. 어떻게 피해가 나타나고 어떻게 예방해야 하는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