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한돈미디어 2025년 4월호 35p
계절이 바뀌는 환절기에는 온도와 습도 변화가 크기 때문에 사람도 돼지도 여러 가지로 질병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적절한 환기와 가습을 통한 호흡기 관리도 중요하지만, 이에 더해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활발해지는 해충들에 대한 예방과 관리도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봄철 양돈장에서 잊지 말아야 할 번식돈의 구충과 일본뇌염 백신에 대해 짚어보려고 한다. ■ 구충 돼지에게는 생산성과 삶의 질을 하락시키는 여러 가지 기생충들이 있다. 이 기생충들은 직접 돼지에 폐사를 일으키지는 않지만, 돼지의 성장과 번식을 위한 영양분을 빼앗아가고, 여러 장기를 손상해 다른 질병에 취약하게 만든다. 이러한 돼지의 기생충은 크게 피부와 귀 등에 서식하며 피를 빨아먹고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외부 기생충과 소화기관, 폐, 신장, 근육 등 내부 장기에 서식하는 내부 기생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위생 수준의 개선으로 사람도 가축도 과거보다 기생충이 많이 감소하였긴 하지만, 결론부터 말하자면 번식돈군은 환절기마다 연 2회 6개월 간격으로 정기적인 구충을 통한 기생충 관리가 필요하다. 매번 분만 전 모돈의 피부에 뿌려주는 구충을 하는 농장이라 해도 추가로 사료 첨가나 주사제를 활용한 구충이 필요한데,
사료·종돈
농협사료, 포스코인터내셔널과 4년 연속 MOU 체결
동약·첨가제
케어사이드, 국내 최초 신약 심장약 ‘센터필® 시리즈’ 출시
축산
국가데이터처, 2025년 3/4분기(9월 1일 기준) 가축동향조사 결과
조합
도드람, '2025 DODRAM FESTA : THE GRILLIST' 팝업스토어 인기
식품·유통
한우자조금, ‘서울 바비큐 페스타’서 한우의 품격 알려
기관·단체
축산환경관리원, 베트남 최대 퇴비시장 ‘달랏’ 공략 본격화 가축분 퇴비 60톤 선적식 개최
식품·유통
하림, 100% 국내산 닭가슴살로 만든 ‘맥시칸 크리스피 통살’ 2종 출시
기관·단체
한돈협회 이기홍 당선인,“책임 통감, 화합으로 나아가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