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적 불경기 속 럼피스킨 백신 ‘신수요 활짝’ ASF 백신 ‘안전성에 발목’ … 구제역 백신 ‘유전자재조합 주목’ 한해 동물약품 시장 최대변수 중 하나는 질병이다. 질병 발생·확산 여부에 따라 해당 동물약품 시장이 활성화되기도 움츠러들기도 한다. 지난해(2023년) 하반기 국내 동물약품 시장에서는 없었던 시장이 하나 생겨났다. 바로 럼피스킨 백신 시장이다. 지난해 10월 럼피스킨이 국내에 첫 발생, 방역당국에서는 럼피스킨 백신 긴급공수에 들어갔다. 적지 않은 물량이 수입됐다. 올해(2024년)도 럼피스킨 백신 수요는 이어졌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월 435만두 분량 럼피스킨 백신 구매 입찰을 했다. 소 전두수 접종 분량이다. 백신 구매 입찰 결과 코미팜이 납품업체로 최종 선정됐다. 하반기에도 50만두 분량의 럼피스킨 백신 추가구매 입찰이 진행됐다. 모기, 침파리 등 럼피스킨 매개체를 구제할 수 있는 살충제, 구충제 시장도 활기를 띠었다. 강력한 럼피스킨 방역에도 불구하고 럼피스킨은 간헐적으로, 그리고 지속해서 터져 나왔다. 백신 접종 등 더 꼼꼼한 방역이 요구된다. 아프리카돼지열병(ASF)도 올해 내내 짙은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웠다. 올해 들어서 1
(사)한국양돈수의사회(회장 최종영)는 지난 11월 15일 청주시 그랜드플라자호텔에서 ‘2023 KASV 연례 세미나’를 개최했다. 최종영 회장은 가축전염병 예방법 개정안 현안과 관련하여 비수의사 가축방역관 선정에 대한 반대 의견과 국가 통제 질병에 대한 백신 접종 주체 등에 관한 의견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세미나에서 르반판 교수(베트남 국립농업대학교 수의과대학)는 2019~2022년 베트남의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은 2019년 2월 처음 보고된 이래 현재까지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고 밝혔다. 2019~2022년까지 35개 지역에서 수집된 ASF 양성돼지 319개 샘플을 확인한 결과 ASFV 균주는 유전자형Ⅱ(p72 및 p54), 변종 Ⅰ(CVR)에 속한다. 또한 베트남에서 발생한 ASFV 균주는 IGRⅠ, IGRⅡ, IGRⅢ, IGRⅣ의 네 가지 변종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흔한 변종은 IGRⅡ(257/319두, 80.56%)로 모든 지역의 샘플에서 발견되었으며 IGRⅠ(54/319두, 16.93%), IGRⅢ(6/319두, 1.88%)에 이어 IGRⅣ(2/319두, 0.63%)로 IGRⅣ은 베트남과 아시아에서 처음 발견된 새로운 변종이다
축산정보뉴스 안영태 기자 | 케어사이드(대표 유영국)는 지난 7월 8일 서울시 서초구에 있는 더케이호텔에서 ‘케어사이드 LDB 세미나 2022’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국내 상황(조호성 교수 / 전북대학교), ▲ASF 백신 개발 동향 및 케어사이드 백신 개발(욜란다 레비야 박사 / CSIC), ▲ASF 백신 후보주 국내 실험결과(선우선영 박사 / 케어사이드), 케어사이드 미래비전(김민철 이사·유상택 팀장 / 케어사이드) 발표에 이어 패널토론으로 진행됐다 . ☞ 조호성 교수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야생멧돼지에서 지속적으로 확산하는 것은 물론 지난 5월 홍천에서 22번째로 농장에서 발생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장에서는 차단방역 시설설치와 방역조치 이행에 집중해야 한다. 차단방역의 주체는 농장으로 절대적인 기준에 도달해야 한다. ☞ 욜란다 레비야 박사는 아시아는 물론 유럽 등 전 세계적으로 ASF는 확산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ASF 백신을 개발하고 있지만 ASFV는 DNA바이러스로 현재까지 완벽하게 방어할 수 있는 백신은 없다. ASF 백신 개발에서 불활화 백신, 재조합 단백, DNA 백신은 병원성 바이러스의 공격 접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