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최근 양돈장에서는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을 활용하여 돼지들의 사육환경과 생산성을 향상하고 백신에 대한 평가도 가능하게 되었다. 정보통신기술(ICT)이 설비된 스마트팜에서 백신 접종 후 사료 섭취 효율, 증체율 및 활동성과 이후 도축 출하일령 계산 등이 가능하여 백신 종류에 따른 농장 생산성과의 경제적 이익 판단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기술을 토대로 최근 농림축산검역본부 바이러스질병과 돼지열병연구실(이하 검역본부)에서는 백신 개발단계에서 돼지의 바이러스질병 예방뿐만 아니라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백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검역본부에서 ICT 기술을 이용한 생산성 분석 사업 수행 후 국제학술지 백신지(Vaccines)에 게재한 결과인 ‘돼지열병 LOM백신과 생마커백신간의 생산성 비교’ 자료를 본지를 통해 소개함으로써 향후 양돈농가에서 돼지열병 백신 선정 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한다. Ⅱ. 본론 1. 양돈장 ICT 기술 정보통신기술(ICT)이란 정보를 가지고 의사소통을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축산에서 이용하는 ICT 융·복합 기술은 원격 및 자동으로 가
1. 시작하며 국가가축방역통합시스템(KAHIS, Korea Animal Health Integrated System )은 가축질병 발생을 예방하고, 질병 발생 시 확산 방지를 위해 최신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가축질병 및 가축방역 정보를 통합 관리하기 위하여 2013년부터 운영되고 있는 국가 방역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에는 전국 가축질병 진단기관에서 진단한 실적도 관리되고 있어 편리하게 질병진단 실적을 파악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KAHIS 자료를 바탕으로 최근 국내 돼지질병 발생상황 및 주요 질병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KAHIS로 본 국내 질병 발생상황 주요 국가재난형 질병 중에서 구제역(FMD은 철저한 백신과 방역 활동으로 2018년 2건 발생 이후 현재까지 발생이 없으며,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은 2019년 경기와 인천에서 14건 발생하였으며, 2020년 강원도 2건(화천), 2021년 강원도 1건(영월)으로 잘 막아내고 있다. 그러나 야생 멧돼지에서 지속해서 발생할 뿐만 아니라 발생지역도 확대되고 있어 방역의 고삐를 늦출 수 없는 위급한 상황이다. 돼지열병의 경우 2016년 제주와 경기 연천에서 각각 1건씩 발생한 이후 현재까지 사육 돼지에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PRRS)은 현재 우리 대한민국 양돈에 가장 큰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는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략 매년 1천억원의 손실을 내는 질병으로 알려져 있으며, 모돈 100두 기준으로 PRRS 양성인 농장은 음성인 농장에 비해 매출액이 1억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PRRS 음성농장이 양성으로 전환되었을 때는 약 2억원에서 2억5천만원의 피해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RRS가 이렇게 큰 경제적 피해를 일으키는 원인은 모돈에 있어서는 번식성적 중에 분만율에 영향을 미치며, 자돈, 육성 구간에는 호흡기 질병을 일으키는 1차적인 원인이 된다. 실제 PRRS 감염과는 총산자수와 큰 연관은 없으며, 총산자수는 농장의 사양관리와 깊은 관련이 있다. 그리고 PRRS 양성인 농장에서는 국내 양돈장에 상재해 있는 미코플라스마나 써 코 바이러스의 감염증을 컨트롤하기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자돈 육성 구간에 큰 피해를 일으키게 된다. 본고에서는 PRRS를 컨트롤하기 위해 노력했던 일반 농장에서의 컨설팅 사례를 보면서 PRRS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1. PRRS를 예방하기 위한 차단방역 이번에 경기 북부 지역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