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적 불경기 속 럼피스킨 백신 ‘신수요 활짝’ ASF 백신 ‘안전성에 발목’ … 구제역 백신 ‘유전자재조합 주목’ 한해 동물약품 시장 최대변수 중 하나는 질병이다. 질병 발생·확산 여부에 따라 해당 동물약품 시장이 활성화되기도 움츠러들기도 한다. 지난해(2023년) 하반기 국내 동물약품 시장에서는 없었던 시장이 하나 생겨났다. 바로 럼피스킨 백신 시장이다. 지난해 10월 럼피스킨이 국내에 첫 발생, 방역당국에서는 럼피스킨 백신 긴급공수에 들어갔다. 적지 않은 물량이 수입됐다. 올해(2024년)도 럼피스킨 백신 수요는 이어졌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월 435만두 분량 럼피스킨 백신 구매 입찰을 했다. 소 전두수 접종 분량이다. 백신 구매 입찰 결과 코미팜이 납품업체로 최종 선정됐다. 하반기에도 50만두 분량의 럼피스킨 백신 추가구매 입찰이 진행됐다. 모기, 침파리 등 럼피스킨 매개체를 구제할 수 있는 살충제, 구충제 시장도 활기를 띠었다. 강력한 럼피스킨 방역에도 불구하고 럼피스킨은 간헐적으로, 그리고 지속해서 터져 나왔다. 백신 접종 등 더 꼼꼼한 방역이 요구된다. 아프리카돼지열병(ASF)도 올해 내내 짙은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웠다. 올해 들어서 1
1. 악성 질병 발생, 노심초사하는 농심 국내 종돈산업을 말하자니 돼지 질병에 관한 언급을 해야 한다. 우리나라 우수유전자를 가진 종돈이 질병 발생으로 인해 한순간 땅속에 무치는 참혹한 결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악성 질병 중 국내에서 문제가 심각한 건 PRRS, 구제역,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등이지만 ASF 발생 현황에 대하여 알아보자. 2019년 9월 17일 경기도 파주시 소재 양돈농장에서 어미돼지 5두가 폐사 신고 접수되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정밀검사 결과 국내 최초로 ASF 발생이 확인되었다. (표 1)을 보면 2019년 최초 발생일로부터 2024년 11월 현재까지 18개 시군 48개 농장에서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야생 멧돼지의 경우는 2024년 9월 말 현재 4,166건의 발생 현황이 보고되었으며 이후에도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도간 방역대가 형성되어 종돈 및 비육돈 이동 등 여러 가지 제약을 받아 원활한 종돈 판매 및 비육돈 출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환적장이 경기 이천(전 한돈협회 능력검정소)에 1곳이어서 더욱더 불편하다. 전북에서 경북으로 돼지 이동 시 전북에서 환적장이 있는 이천으로 이동하고 돼지를 받는
국내 축산업은 높은 사료비와 농촌 고령화, 악취(분뇨) 환경문제, 가축질병 외에도 경영비 절감, 탄소저감, 동물복지 확산 등 중대한 현안을 안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축산의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축산분야 ICT 융복합 확산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축산은 ICT를 기반으로 한 센싱기술과 4차산업 기술이 적용된 IoT 장비를 활용한다고 볼 수 있다. ICT 장비로 축산환경을 제어하고 가축 행동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이상 징후 발생 시 즉각적인 조치뿐 아니라 선제 대응도 가능하다. 또한 수집된 정보는 다각도 알고리즘 분석으로 구조적인 농장의 현안을 해결할 수도 있다. 본 고에서는 2024년 축산분야 ICT 융복합 확산사업의 성과를 점검하고 양돈분야의 스마트축산 성과와 발전 방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 스마트 장비 보급확산 국내 축산농가에 개체관리가 가능한 생체인식 센서를 기본으로 사양·경영분석, 분뇨·악취저감, 농장 환경 컨트롤 및 에너지 효율화 등 관련 ICT 장비가 확산·보급되고 있다. 2014년부터 시작된 축산분야 ICT 장비 보급은 2023년 전업농가 기준 약 23.1% 수준이며 정부는 2027년까지 40%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ICT 장비
3년 연속 연 5천원 이상의 돈가를 기록할 올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폭등하는 곡물가로 인한 거듭된 사료가격 인상으로 2022년과 2023년의 비육돈 두당 수익은 조금씩 낮아져 왔다. 그렇다면 완전히 코로나의 영향에서 벗어난 첫해인 2024년은 어땠을까? 고물가, 소비 둔화, 그리고 환경규제 변화 등 다양한 요소가 한돈농가의 경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2024년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2024년에 주요하게 바뀐 환경적 변화를 이야기하고 후에 한돈산업의 상황과 과제에 대해 짚어보려 한다. 1. 2024년 한돈산업 이슈 (1) 경제 환경의 변화 한국은행의 기준 금리는 10월에 한 번 인하되어 3.25%가 되었다. 미국의 빅컷(0.5% 금리 인하)과 추가 0.25% 인하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부동산값 폭등에 대한 공포 때문에 0.25%만 인하되었다. 연초에 금리를 6~8번까지 내릴 수 있다는 전망은 온데간데없이 한 번의 인하만 실시되었다. 계속되는 고금리 상황은 자금을 융통 받아 농장을 운영하는 농가에 많은 영향을 끼쳤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지갑을 닫게 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돼지고기 가격 형성의 중심축이 공급에서 소비로 옮겨가고 있는 만큼, 소비 둔화는
1. 머리말 숨 막히는 여름이 끝나기도 전에 양돈장들은 이제 더 험난한 겨울 피해의 큰 위험에 직면하고 있다. 올해는 국내 열대야 평균 일수가 20.2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유난히 더웠던 한 해였지만, 겨울이 다가오면서 또 다른 위기가 다가오고 있다. 올겨울 영하 18℃까지 내려갈 것이라는 한파 경고는 마치 초겨울부터 다가올 시련을 예고하는 듯하다. 게다가 이제 농가들은 봄과 가을의 짧아짐을 체감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긴 여름과 겨울은 농장 생산성에 타격을 주기 쉽고, 특히 겨울철에는 냉해와 같은 악조건으로 인해 사양관리가 매우 까다로워진다. 그러나 유비무환(有備無患)이라는 말처럼 미리 준비하고 대비하면 걱정할 필요가 없다. 다가오는 겨울철 철저한 준비가 없다면 농장의 전반적인 생산성을 좌우할 수 있는 중대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본 고에서 겨울철 양돈장 생산성을 위협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에 맞는 효과적인 사양관리 전략을 다룰 것이다. 2. 겨울철 포유자돈 생산성 저하 요인 양돈장에 있어서 겨울은 춥고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면서 다양한 병원체가 살아남기 좋은 환경이 된다.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항원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한 가장
올해 여름 역대급 폭염으로 인해 양돈장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여름철 평균 기온은 25.6℃로 2018년 대비 0.3℃ 높았으며, 열대야 평균 일수도 20.2일로 3.9일이나 더 길었다. 특히 올해 11월 중순까지 이어진 이례적인 이상고온으로 인해 다가오는 겨울철 돼지 질병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11월 초순부터 중순까지 평년보다 높은 기온이 계속되며 양돈장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이른바 ‘가을 폭염’이라 불릴 정도로 늦가을과 초겨울에도 이례적인 고온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모돈의 체력 손실과 면역력 저하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는 여름 폭염에 이어 지속된 고온이 모돈의 체력 회복을 방해하고 번식성적을 저하시켜 자돈의 면역력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폭염으로 인해 고온 스트레스에 취약했던 모돈의 체력 손실은 겨울철 자돈의 면역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PED(돼지유행성 설사병)와 같은 겨울철 주요 질병의 확산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실제로 2018년에도 유사한 폭염 후유증으로 인해 그해 겨울과 이듬해 겨울까지 PED 신고 건수가 급증했던 바 있다. 이러한 폭염 후유증에 대비해 차단방역을 강화하고, 모돈과 자
날씨가 추워지고 건조한 겨울이 되면 양돈장에서는 여러 종류의 질병이 더욱더 많이 발생해 더 큰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겨울철에는 바이러스가 더 쉽게 전파되는 환경이기 때문에 바이러스성 질병인 PRRS, SI, PED 등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다만 질병은 하나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병원체, 사육 환경, 스트레스 등 여러 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 그래서 각각의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 및 그에 따른 예방 전략을 소개하고자 한다. 1. 겨울철 다발하는 호흡기 질병 (1) 마이코플라즈마성 폐렴(유행성폐렴) 유행성폐렴이라고 알려진 마이코플라즈마성 폐렴은 국내의 거의 모든 농장에 상재해 있는 질병이다. 마이코플라즈마성 페렴은 이유 초기부터 문제가 될 수 있고 보통은 육성, 비육구간에서 문제를 일으킨다. 마이코플라즈마 단독 감염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건조하고 얕은 연속된 기침을 하며, 피모가 거칠어지고, 증체율의 감소 등 다소 경증의 증상을 보이게 된다. 하지만 마이코플라즈마 감염 이후 2차적인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감염은 중증의 호흡기 질환으로 전환이 되기 때문에 중요한 병원체로 관리하여야만 한다. 특히 다른 병원체(PRRS, 돼지인플
현재 우리 한돈산업에서 주 품종으로 키우는 YLD는 햄·소시지 원료용으로 개량된 돼지라서 우리나라처럼 돼지고기를 생고기로 많이 소비하는 나라에서는 잘 어울리지 않지만 값싼 육류의 공급을 위해서 키워왔다. 맛없는 품종이라도 생산성이 좋아서 개발해서 키웠던 통일벼 같은 돼지품종이다. ■ 우리나라에서 생산성이 나빠서 가격은 다소 비싸도 맛있는 돼지품종들이 있다. 잘 알려지지 않은 건 흑백요리사의 흑요리사 같다고 할까? 얼마 전 흑돈 1931(이 브랜드 네이밍은 필자가 했다. 1931년은 고(故) 방신영 교수가 처음으로 세겹살이라 단어를 책에 수록한 해로 삼겹살의 시작점이다.)에서 한국의 흑돈 일부를 소개하는 시식회가 있었다. 많은 화두를 세상에 던진 작은 나비의 날개짓 같은 행사였다. 필자가 바라는 건 품종간 맛의 차이나 선호도가 아니라 2차대전 이후 맛을 버리고 생산성 중심의 양돈산업이 이제 다시 맛 중심의 한돈산업으로 피보팅(pivoting) 해야 한다는 것이다. YLD는 미국도 EU도 칠레도 멕시코도 캐나다도 키운다. 아니 동남아 공장식 축산에서도 YLD를 키운다. 해외에서 값싼 YLD가 수입되어 점점 한돈 YLD는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 얼리지 않은 돼지
해마다 기후가 변화되고 있다는 것을 체감하게 된다. 올해 지난 여름은 무더위로 최단기간에 많은 돼지가 폐사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더위는 9월 추석까지 이어져 6~9월까지 출하두수는 전년 대비 142천두가 감소하여 산지 출하 물량이 줄었고, 가을 또한 짧게 지나가 겨울이 다가왔다. 기상청 등 주요 매체에서는 이번 대한민국의 겨울은 평년보다 추울 가능성이 크고, 한파가 잦을 것으로 예상한다. 다시 말하면 어려운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기본적인 사양관리 외 필요에 따른 시설 대응이 필요하다. 이번 호에서는 겨울철 강건한 돈군 생산성을 위한 관리 방안을 고민해 보고자 한다. 1. 겨울철 대비 환경관리 – 환기 (1) 급격한 돈사 내 온도 변화에 대비한 관리를 해야 한다. 적절한 환기 설비가 되어 있지 않은 농장에서 주로 윈치 개방으로 돈사 내 급격한 온도 변화가 발생한다. 컨트롤러의 설정 변경(가을 → 겨울)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주야간 온도설정, 편차, 최대 환기량, 최소 환기량 관리가 필요하다(밤, 낮 변경 관리). 또한 자연 환기(윈치) 돈사의 경우 봄, 가을, 겨울 윈치를 닫았을 때 운영할 수 있는 환기시설이 갖추어져야 한다.
1. 서론 돼지유행성설사(Porcine epidemic diarrhea, PED)는 돼지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virus, TGEV)와 같은 코로나바이러스과에 속하는 돼지유행성설사바이러스(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가 병원체이다. PEDV가 어린 포유자돈에 감염 시 심한 수양성 설사와 구토를 유발하고 포유하지 못하며, 탈수로 인해 폐사에 이르거나 생존하더라도 위축돈으로 남아 양돈농가에 경제적 피해를 야기하는 질병이다. 이번 기고문에서는 PED의 최근 국내 발생 현황을 살펴보고, 겨울철에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농장 방역관리 방법을 소개하려 한다. 2. 국내 돼지유행성설사(PED) 발생 현황 PED 원인체인 PEDV는 일반적으로 과거에 유행한 유전형 G1 타입과 최근 유행하는 유전형 G2 타입으로 구분되고, 최근에는 유전형 G2 타입 중 G2b 타입이 유행 중이다. 또한 PEDV의 유전형 G2b 타입은 병원성이 강한 non-S-INDEL 타입과 일부 유전자가 변이되어 병원성이 비교적 약한 S-INDEL 타입으로 분류된다. 국내에서는 2013년 하반기에 유입된 새로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