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는 오늘 음성 메추리농장 방역대(3km) 농장에 대해 실시한 강화된 정기검사* 과정 중 육용오리 농장(약 12천수 사육)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의심축이 추가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 (기존) 3주간 매주 1회 → (강화) 5일 간격 해당농장은 11월 9일부터 이동제한 조치 중이며, 중수본은 의심축이 확인된 즉시 초동대응팀을 현장에 투입하여 해당 농장에 대한 출입 통제, 예방적 살처분, 역학조사 등 긴급 방역조치를 실시 중에 있다. * 해당 농장은 음성 메추리 농장과 2.6km, 음성 육용오리 농장과 3.6km 거리에 위치 * 반경 1km 이내 가금농가는 없으며, 고병원성 여부는 1∼3일 후 나올 예정 * (사육농가 발생현황) (1차) 음성 메추리(11.8), (2차) 음성 육용오리(11.9), (3차) 나주 육용오리(11.13)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1. 발생현황 및 초동조치 (발생현황)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장관, 이하 ‘중수본’)는 11월 15일 현재까지 총 3건의 가금농장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하였다고 밝혔다. 중수본은 11월 8일 충북 음성 메추리 농장(1차) 첫 발생 후 선제적인 정밀검사를 통해 충북 음성의 육용오리(2차)와 전남 나주의 육용오리 농장(3차)에서 양성개체를 조기 발견하였다. * (1차 발생) 충북 음성 메추리(11.8일, 신고) → (2차 발생) 충북 음성 육용오리(11.9일, 발생농장 주변 정밀검사) → (3차 발생) 전남 나주 육용오리(11.11일, 정기 정밀검사) 이는 지난 11월 1일(월)부터 감염개체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실시한 가금검사 강화* 조치에 기인한 것이다. * 모든 가금에 대해 도축장 출하 전 검사, 육용오리 사육기간 중 2회 → 3∼4회, 육용오리 이외(산란계·토종닭 등) 월 1회 → 2주 1회 (초동조치) 중수본은 의심가축 발생 즉시 초동대응팀과 중앙역학조사반을 현장에 급파하여 농장 출입통제와 역학조사를 실시하였고, 의심가축 발생농장의 가금을 신속히 살처분하였다. * 현재 잔존물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위험도 평가 결과를 토대로 예방적 살처분 범위를 기존 ‘발생농장 반경 500m 내 전(全) 축종’으로 하되, 오리에서 고병원성 AI가 발생할 경우 500m∼1km 범위 내 오리에 대해서도 추가로 살처분하는 방안을 11월 26일까지 적용한다고 밝혔다. 또한 11월 26일 이전이라도 발생농장 반경 10km 내에서 추가 발생 시, 양상*에 따라 신속하게 가축방역심의회를 거쳐 ‘500m 내 전(全) 축종’과 ‘500m∼1km의 동일 축종’ 살처분 등 예방적 살처분 범위를 조정키로 하였다. * (예시) 반경 3km 내에서 2건 이상 발생하고 수평전파 의심 등 야생조류와 가금농장에서의 고병원성 AI 발생 양상, 병원체 유형 분석, AI 방역조치 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위험도를 평가한 결과 가금농장의 위험도가 증가하고는 있으나, 현재 산발적 발생 중인 점과 오리는 타 축종과 비교해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 점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방역대(발생농장 반경 3km) 내에 대한 방역조치 강화를 전제로 기존 ‘500m 내 전(全) 축종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의 11월 10일자 야생조류 조류인플루엔자 검사현황(총 38건 : 고병원성 3건, 저병원성 25건, 검사 중 10건)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는 11월 12일, 전남 나주 소재 육용오리 농장(약 37천수 사육)의 조기검색·예찰을 위해 실시한 정밀검사 과정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의심축이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 반경 500m 이내 가금농가 없음 중수본은 지난 11월 1일 야생조류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확진된 즉시 위기단계를 ‘심각’으로 격상하면서 방역에 취약한 지역의 오리농장에 대해 검사주기를 단축(사육기간 중 3회 → 4회)하는 등 방역조치를 강화한 바 있다.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의 11월 10일자 야생조류 조류인플루엔자 검사현황(총 32건 : 고병원성 3건, 저병원성 24건, 검사 중 5건)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는 11월 11일 충북 음성 소재 육용오리 농장(약 23천수)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추가로 확진되었다고 밝혔다. * 해당 농장은 11월 9일 발생한 충북 음성 메추리 농장의 방역대(3km) 내 농장으로 방역대 일제검사 과정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확인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는 충북 음성 소재 메추리 농장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확진(H5N1형)과 육용오리 농장(방역대 3km 이내) 의심축 발생*에 따라 방역 강화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 현재 정밀검사를 진행 중이며 고병원성 여부는 1∼3일 후 나올 예정 1. 상황진단 국내 야생조류에서 3건*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항원이 발견되었으며,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동일한 날짜에 각각 발생한 것으로 볼 때 야생조류에서 광범위하게 오염된 것으로 판단된다. * H5N1형 검출(3건 ) : (1차) 천안 곡교천, (2차) 부안 고부천, (3차) 정읍 정읍천 유럽에서는 올해 여름에도 계속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하다가 9월부터 H5N1형을 중심으로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유럽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는 시베리아에서 교차감염 후 겨울철 국내로 유입될 가능성이 크고, 최근 철새 유입 증가로 오염지역 확산에 따라 농장방역 강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 일본은 산란계 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의심가축 발생(11월 9일) 2. 방역 추진 상황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신속하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는 11월 9일 실시한 음성 메추리농장 방역대(3km) 일제검사 과정 중 육용오리 농장(약 23천수 사육)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의심축이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 현재 정밀검사를 진행 중이며 고병원성 여부는 1∼3일 후 나올 예정 중수본은 의심축이 확인된 즉시 초동대응팀을 현장에 투입하여 해당 농장에 대한 출입 통제, 예방적 살처분, 역학조사 등 긴급 방역조치를 실시 중이다.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의 11월 9일자 야생조류 조류인플루엔자 검사현황(총 35건 : 고병원성 3건, 저병원성 24건, 검사 중 8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