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양양군 손양면 소재 양돈장(2,200두 규모)에서 지난 2월 12일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함에 따라 2월 12일(일) 오후 1시 30분부터 2월 14일(화) 오후 1시 30분까지 48시간 동안 강원도(철원 제외) 돼지 등 일시 이동중지 명령이 발령됐다. 발생 농장은 2월 11일 오후 비육돈에서 폐사축이 나오자 의심축 신고를 하였으며, 2월 12일 새벽 강원도 동물위생시험소에서 정밀검사 한 결과 최종 ASF로 확진되었다. 한편 인근 돼지농장은 (500m 이내) 5호(16,305두), (500~3km) 2호 4,170두, (3~10km) 1호 750두 총 8개 농가 21,225두를 사육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도가 올해로 시행 6년 차를 맞는 ‘가축행복농장 인증제’ 신규 인증제 참여 농가를 모집한다고 2월 8일 밝혔다. 가축행복농장 인증제는 안전한 축산물을 생산하고 사람·가축·환경이 조화로운 축산업을 조성하기 위해 경기도가 2018년 전국에서 처음으로 도입한 농장 동물복지 인증제도다. 2018년부터 현재까지 375농가가 인증을 받았다. 신청 자격은 도내 한·육우, 젖소, 돼지, 산란계, 육계 농장으로 참여 희망 농가는 2월 28일까지 관할 시·군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서류 접수 후 현장 심사에서 가축의 행복을 위한 쾌적함과 위생적 측면에서 우수한 사육환경을 갖춘 농가를 최종 선발할 예정이다. 인증 농가에는 축사·방역시설 개보수, 경관시설·사양관리 개선 등 가축 사육환경 개선을 위한 다양한 지원과 혜택이 주어진다.
2023년 강원특별자치도 출범 원년에 발맞춰『도민과 동물이 함께 행복한 원헬스(One Health) 기반 구축』을 위해 강원도에서는 총 585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동물방역, 반려동물보호·복지 및 축산물 위생‧안전” 대책을 선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진한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거점‧통제‧차단방역시설 운영 지원 64억원, 광견병 등 가축전염병 예방백신 지원 60억원, 구제역 방역 지원 63억원, 공동방제단 운영 지원 25억원 등 ‘사전 예방 중심, 동물방역 고도화 구축’ 사업에 393억원을 중점 투입한다. ‘강원형 반려동물정책 혁신, 동물복지 허브 구축’ 사업에도 162억원을 투입하고, 축산물작업장 위생설비 개선 지원 10억원, 축산농가 및 작업장 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지원 1억원, 축산물 HACCP 컨설팅 지원 5억원 등 ‘축산물 위생·안전성 향상, 도민 안전 먹거리 확보’ 사업에 30억원을 투입한다. 강원도는 동물방역·동물보호복지·축산물위생안전 대책의 효율적인 추진과 물가 상승 등 최근 어려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올해 예산의 70% 이상을 상반기 내에 신속 집행할 방침이다.
농협(회장 이성희) 경제지주 축산경제는 축산농가 경영안정을 위해 NH농협손해보험과 함께 도입해 운영하고 있는 「소(牛) 근출혈 피해보상보험」의 보험금을 2022년 12월 말 기준 3,185두에 총 26억원(두당 평균 약 83만원)을 피해농가에 지급했다고 밝혔다. * 근출혈 : 근육 내 존재하는 모세혈관 파열로 혈액이 근육 내에 퍼지면서 나타나는 현상 「소 근출혈 피해보상보험」은 2019년 1월 소 사육농가의 출하위험요소 제거를 위해 농협 축산물 4대 공판장(부천, 음성, 나주, 고령)에 출하·도축, 상장되는 소를 대상으로 판매되기 시작해 현재는 도드람양돈농협, 대전충남양돈농협, 부경양돈농협 운영 공판장까지 확대 운영되고 있다. 농가는 출하 전이나 출하시점에 공판장에서 「소 근출혈 피해보상보험」에 가입할 수 있으며 보험료는 공판장과 출하 농·축협, 출하농가가 각각 1/3씩 부담하는 방식으로, 2022년 12월 말 기준 농협경제지주 4대 공판장에서의 보험 가입률은 83.8%(수탁 출하두수 대비)다. 안병우 농협 축산경제대표이사는 “「소 근출혈 피해보상보험」의 지속적인 확대와 운영을 통해 더 많은 축산농가들이 보상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며 “축산물 생산 및 유통과
경기도 축산진흥센터는 지난해 8월부터 12월까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축산악취저감제 3종을 대상으로 효과에 대한 실증시험을 추진했다고 지난 2월 2일 밝혔다. 실험은 축산진흥센터 내 돈사 내부를 일반 농장 환경과 비슷하게 조성하고 악취측정 장치와 악취저감제 분무가 가능한 안개분무시설 장치로 구성된 축산악취저감제 실증시험 장비를 설치했다. 동일 조건의 돈사 4개 구역에 악취센서 감지를 통한 악취발생량을 측정해 저감제를 살포하거나 일정 시간 분무하는 방식으로 효과를 비교 분석했다. 악취저감제는 산업용 탈취제와 미생물제 두 종류를 사용하였고, 악취저감제 분무 전·후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 복합가스의 농도 측정을 통한 저감효과 비교와 암모니아 저감효과 지속력을 측정하여 비교·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산업용 탈취제와 미생물제의 악취저감제 제품 모두 황화수소와 복합가스의 저감효과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암모니아 저감효과에 대해서는 산업용 탈취제 제품이 미생물제 제품에 비교 우위를 보였으나 저감효과 지속력은 미생물제 제품이 산업용 탈취제 제품보다 더 좋은 지속력을 보여줬다. 경기도는 올해 6개의 제품을 추가적으로 검증하여 실증시험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는 네덜란드 서남부 자위트 홀란트 주(州) 소재 젖소농장에서 비정형 소해면상뇌증(BSE :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이 발생한 사실을 확인하고, 「네덜란드산 쇠고기 수입위생조건」에 따라 2월 2일 자로 네덜란드산 쇠고기에 대한 수입검역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 비정형 BSE는 오염된 사료를 통해 전파되는 정형 BSE와 달리 주로 8세 이상의 고령 소에서 매우 드물게 자연 발생하며, 타 개체로 전파되지 않음 네덜란드 농업부는 2월 1일(현지시간) 정부실험실의 검사 결과 폐사한 고령의 젖소 1마리가 비정형 소해면상뇌증(BSE)에 감염된 사실*을 확인하였고 감염 소는 폐기되어 식품업체에 공급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 2023.2.1.(현지시간) 8세령 젖소의 사체 검사 결과, 비정형 BSE를 확인하였고 해당 사체는 폐기되어 식품 체인으로 공급되지 않음 농식품부는 검역 중단 조치와 함께 네덜란드 정부에 이번 비정형 소해면상뇌증(BSE) 발생에 대한 역학 관련 정보를 요구하였으며, 향후 네덜란드 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공중보건상 위해 여부를 판단하여 검역 재개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 「네덜
강원도가 최근 사료값 폭등과 금리인상으로 이중고를 겪고 있는 축산농가의 연쇄도산 우려에 따라 강원도 농어촌진흥기금 50억원을 긴급하게 조성하여 사료구매자금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이번에 지원되는 사료구매자금은 농어촌진흥기금 융자지원으로 연리 1%의 2년 거치 3년 균분상환이고, 농가당 한도액은 1천만 원에서 5천만원까지이다. 신청은 시군 읍·면·동 사무소에 2월 17일까지이며, 대출은 3월 1일부터 시군 농협지부에서 시행된다.
강원도는 사료비, 자재비 인상, 축산물 가격 하락에 따른 농가 경영안정과 환경친화적인 축산업 육성 등 대내‧외 환경변화에 능동적인 대응을 위해 2023년 축산분야 46개 시책사업에 561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세부 내용으로는 산지 소값 하락에 대응하기 위한 한우 수급조절 및 품질고급화‧생산성 향상 지원과 유전체 분석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가축개량 체계 구축에 63억원, 자급 조사료 생산 이용 활성화 등 안정적인 조사료 자급기반 확충에 137억원을 투자한다. 또한 축산업의 지역사회 상생‧공존을 위해 가축분뇨의 효율적 처리와 축산악취의 체계적 관리에 142억원을 지원하고, 가축 복지 증진과 스마트 축산시설 확충 및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반려동물 사료(펫푸드) 생산기반 구축에 46억원을 투자하여 잉여 축산물을 활용한 연관산업 육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 화재‧폭염 등 재해로부터 안전한 경영환경 구축을 위해 가축재해보험 지원 등 82억원, 사회‧생활체육을 통한 승마 대중화와 화분 매개체로서의 꿀벌 보호‧육성에 33억원을 투자하여 사회‧생태 등 축산업의 다원적 기능을 강화하고 미래 성장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소비 침체와 수급불균형 심화로 ‘24년까지 축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FTA 이행지원센터에서 발표한 2022년 4분기(10~12월) 2022년 FTA 체결국 축산물(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수출입 동향을 소개합니다. ▪ 2022년 쇠고기 수입량(47만5천톤)은 2분기까지 감소하던 수입량이 7~9월 0%의 할당관세 적용에 따라 증가하여 전년 대비 1.2% 증가함. ▪ 2022년 돼지고기 수입량(54만3천톤)은 국내산 돼지고기 가격 상승과 EU산 냉동돼지고기 수입량이 증가하여 전년 대비 25.7% 증가함. ▪ 2022년 닭고기 수입량(18만2천톤)은 국내 생산량 감소 및 가격 상승, 할당관세 적용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22.0% 증가함.
한국농촌경제연구원 FTA 이행지원센터에서 발표한 2022년 4분기(10~12월) 돼지고기 수출입 동향을 소개합니다. 2022년 돼지고기 수입량(54만3천톤)은 국내산 돼지고기 가격 상승과 EU산 냉동돼지고기 수입량이 증가하여 전년 대비 25.7% 증가했다. ▪ 수급 동향 : 2022년 국내산 돼지고기 생산량은 전년 대비 증가하였으며, 2023년 전 세계 생산량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전망된다. - 2022년 국내 돼지 도축마리수(1,855만6천마리)는 전년 대비 0.9% 증가(농림축산검역본부) - 2022년 돼지 경락가격(5,927원/kg)은 전년 대비 13.5% 상승(축산물품질평가원) * 돼지 경락가격은 도축마리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외식소비 증가와 사료비 인상 등의 영향으로 상승 - 2023년 전 세계 돼지고기 생산량(1억1,409만톤)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 전망(0.3% 증가), 중국(5,500만톤)은 전년과 같은 수준, EU(2,258만톤)는 전년 대비 0.4% 감소, 미국(1,247만톤)은 전년 대비 1.8% 증가 전망(USDA FAS, 2023년 1월) ▪ 수입 동향 : 2022년 돼지고기 수입량은 54만3천톤으로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