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는 1월 23일 경기 화성 산란계 2개 농장(약 190천마리, 237천마리 사육)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확진(23차·24차, H5N1형)되었다고 밝혔다. * (가금농장발생) 24건(11.8.~, 산란계8, 육계2, 오리13, 메추리1/ 경기2, 충북5, 충남3, 세종2, 전북2, 전남10) 중수본은 감염 개체를 신속하게 발견하기 위해 가금검사를 강화*하였으며, 이번 확진은 강화된 정밀 정기검사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 (모든 가금) 도축장 출하전 검사(신설), (육용오리) 사육기간 중 2회 → 3~4회, (산란계 등 가금) 월 1회 → 2주 1회, (방역대 3km 농장) 3주간 매주 1회 → 5일 간격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는 1월 22일 충북 진천 종오리농장(약 10천마리 사육)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확진(22차, H5N1형)되었다고 밝혔다. * (가금농장발생) 22건(11.8.~, 산란계6, 육계2, 오리13, 메추리1/ 충북5, 충남3, 세종2, 전북2, 전남10)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는 남은 특별방역대책기간(~2.28일) 동안 국내외 발생상황을 모니터링하면서 가금농장 및 관련 시설의 취약요인 개선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가금농장 고병원성 AI(H5N1형) 발생은 지난해 11월 8일 첫 발생 이후 현재까지 21건(오리 12건·산란계 6·육계 2·메추리 1)이 발생했다. 이는 전년 동기 68건 대비 69% 감소(그중 산란계는 75% 감소, 24건→6)한 수치이다. 또한 살처분 규모도 대폭 감소하여 닭은 작년보다 90% 감소(16,373천수→1,615)하였고, 오리는 85% 감소(1,752천수→267)하였다. 한편 12월에서 1월은 국내 철새 서식이 최고조에 달하는 시기로 지난 12월 기준 서식 규모는 173만수에 달하며 이는 전년 동월(157만수) 대비 10% 증가한 수치이다. 현재까지 야생조류에서 검출된 고병원성 AI(H5N1형)는 총 18건으로 전년 동기 107건 대비 83% 감소하였다. 최근까지도 항원이 지속 검출(1.13일 충남 아산 등)되고 있고, 2월에는 철새의 북상이 시작되므로 가금농가들의 지속적인 경각심 유지가 필요하다. 최근 유럽·아시아 등 주변국에서는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오1월 17일 전남 영암 육용오리 농장(약 33천마리 사육)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확진(21차, H5N1형)되었다고 밝혔다. * (가금농장발생) 21건(11.8.~, 산란계 6, 육계 2, 오리 12, 메추리 1/ 충북 4, 충남 3, 세종 2, 전북 2, 전남 10) 중수본는 감염 개체를 신속하게 발견하기 위해 가금검사를 강화*하였으며, 이번 확진은 강화된 정밀 정기검사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 (모든 가금) 도축장 출하 전 검사(신설), (육용오리) 사육기간 중 2회 → 3~4회, (육용오리 외 가금) 월 1회 → 2주 1회, (방역대 3km 농장) 3주간 매주 1회 → 5일 간격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는 1월 15일 전남 영암 육용오리 농장21차(잠정)(약 33천마리 사육)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의심축이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 (가금농장발생) 20건(11.8.~, 산란계 6, 육계 2, 오리 11, 메추리 1/ 충북 4, 충남 3, 세종 2, 전북 2, 전남 9) 중수본는 감염 개체를 신속하게 발견하기 위해 가금검사를 강화*하였으며, 이번 확진은 강화된 정밀 정기검사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 (모든 가금) 도축장 출하 전 검사(신설), (육용오리) 사육기간 중 2회 → 3~4회, (육용오리 외 가금) 월 1회 → 2주 1회, (방역대 3km 농장) 3주간 매주 1회 → 5일 간격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 이하 중수본)는 오늘 전북 정읍 종오리 농장 20차(잠정)(약 16천수 사육)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의심축이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 (가금농장발생) 19건(11.8.~, 산란계 6, 육계 2, 오리 10, 메추리 1/ 충북 4, 충남 3, 세종 2, 전북 1, 전남 9) 의심축이 확인된 즉시 초동대응팀을 현장에 투입하여 해당 농장에 대한 출입 통제, 예방적 살처분, 역학조사 등 선제적 방역조치를 실시하고 있다. * 반경 1km 이내 오리사육 농가는 없으며, 고병원성 여부는 1∼3일 후 나올 예정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검출 세부 현황 ① 가금농장 * 총 19건 : 고병원성 19건, 검사중 0건 ② 야생조류 * 총 76건 : 고병원성 17건, 저병원성 55건, 검사 중 4건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검출 세부 현황 ① 가금농장 * 총 18건 : 고병원성 18건 ② 야생조류 * 총 72건 : 고병원성 16건, 저병원성 55건, 검사 중 1건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검출 세부 현황 ① 가금농장 * 총 18건 : 고병원성 18건 ② 야생조류 * 총 71건 : 고병원성 15건, 저병원성 55건, 검사 중 1건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2월 22일 「가축전염병 예방법」 제3조제5항에 따라 가축전염병 예방 및 관리대책을 추진하고 같은 법 시행령 제11조제1항에 따른 보상금의 지급 및 감액 기준 중 제1호의 방역 노력이 인정되는 농가에 관한 세부적인 사항을 정하기 위하여 방역 노력이 인정되는 농가에 관한 기준을 공고(제2021–446호)했다. 공고에 따르면 「축산법」 제22조제1항에 따라 축산업 허가를 받고 닭·오리(종계·종오리 포함)를 사육 중인 농가 대상으로 참여 희망 농가는 ‘가금농가 자율방역 프로젝트’ 서약서를 작성하여 전국 시·군·구(특별자치시, 특별자치도의 행정시 포함) 가축방역부서에 제출하면 된다. 방역 노력 인정 농가에 대한 지원 대상은 관할 시·군·구에 서약서를 제출한 가금농가(서약 기간에 가축전염병 예방법령을 위반하여 처벌을 받거나 과태료를 부과받은 자는 제외)이며, 기준은 「가축전염병 예방법」 제13조제1항에 따른 국립가축방역기관장의 역학조사 결과 ‘가금농가 자율방역 프로젝트’ 참여 농가 준수사항을 성실히 실천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이다. 방역 노력 인정 농가는 ▲「가축전염병 예방법 시행령」 보상금 지급 및 감액 기준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