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는 12월 28일 전북 부안 종오리 농장(약 10천수 사육)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확진(18차*, H5N1형)되었다고 밝혔다. * (가금농장발생) 18건(11.8.~, 산란계6, 육계2, 오리9, 메추리1/ 충북4, 충남3, 세종2, 전북1, 전남8) 전라북도에서는 12월 28일(화) 00시부터 12월 29일(수) 12시까지 36시간 동안 관내 오리농장·축산시설(사료공장·도축장 등)·축산차량을 대상으로 일시이동중지(Standstill) 명령을 발령하였다. 중수본은 가금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계속 발생함에 따라 전국 가금농장과 관련 축산시설·차량을 대상으로 발령했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위험주의보(11.29.~12.26.)’를 12월 27일부터 1월 22일까지 4주간 연장하여 운영하고 있다. 산란계 밀집사육단지(8개소)·특별관리지역(16개 시군)을 포함한 전국 가금농장을 대상으로 사람·차량 농장 진입금지, 농장 출입시 2단계 소독 등 차단방역 수칙 준수 여부를 점검한다.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오늘 전북 부안 종오리 농장18차(잠정)(약 10천수 사육)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의심축이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 (가금농장발생) 17건(11.8.~, 산란계6, 육계2, 오리8, 메추리1/ 충북4, 충남3, 세종2, 전남8)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검출 세부 현황 ① 가금농장 * 총 17건 : 고병원성 17건 ② 야생조류 * 총 71건 : 고병원성 15건, 저병원성 53건, 검사 중 3건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검출 세부 현황 ① 가금농장 * 총 16건 : 고병원성 16건 ② 야생조류 * 총 69건 : 고병원성 15건, 저병원성 53건, 검사 중 1건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검출 세부 현황 ① 가금농장 * 총 15건 : 고병원성 14건, 검사 중 1건 ② 야생조류 * 총 71건 : 고병원성 15건, 저병원성 50건, 검사 중 6건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는 세종 산란계 농장(약 344천수 사육)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의심축이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 (1차) 음성 메추리(11.8), (2차) 음성 육용오리(11.9), (3차) 나주 육용오리(11.11), (4차) 음성 육용오리(11.14),(5차) 강진 종오리(11.16), (6차) 나주 육용오리(11.17), (7차) 음성 육계(11.19), (8차) 담양 육용오리(11.22),(9차) 천안 산란계(12.3), (10차) 영암 산란계(12.5), (11차) 천안 산란계(12.11), (12차) 무안 육용오리(12.13),(13차) 아산 산란계(12.14), (의심축) 영암 종오리(12.15), (의심축) 세종 산란계(12.16) 중수본은 의심축이 확인된 즉시 초동대응팀을 현장에 투입하여 해당 농장에 대한 출입 통제, 예방적 살처분, 역학조사 등 선제적 방역조치를 실시하고 있다. * 반경 1km 내 사육농가 없음, 고병원성 여부는 1∼3일 후 나올 예정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검출 세부 현황 ① 가금농장 * 총 14건 : 고병원성 13건, 검사 중 1건 ② 야생조류 * 총 66건: 고병원성 14건, 저병원성 49건, 검사 중 3건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검출 세부 현황 ① 가금농장 * 총 13건 : 고병원성 13건 ② 야생조류 * 총 67건 : 고병원성 14건, 저병원성 49건, 검사 중 4건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 이하 중수본)는 오늘 충남 아산 산란계 농장(약 65천수 사육)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확진(13차*, H5N1형)되었다고 밝혔다. * (1차) 음성 메추리(11.8), (2차) 음성 육용오리(11.9), (3차) 나주 육용오리(11.11), (4차) 음성 육용오리(11.14), (5차) 강진 종오리(11.16), (6차) 나주 육용오리(11.17), (7차) 음성 육계(11.19), (8차) 담양 육용오리(11.22), (9차) 천안 산란계(12.3), (10차) 영암 산란계(12.5), (11차) 천안 산란계(12.11), (12차) 무안 육용오리(12.13)(13차) 아산 산란계(12.14) 중수본은 올해 하반기 우리나라로 유입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5N1형) 바이러스의 병원성을 분석한 결과 닭의 경우 감염 시 2~4일 내 모두 폐사가 발생했으나, 오리의 경우 녹변 외의 특이한 임상증상이나 폐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닭·오리 모두 동거한 개체에 100% 전파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오리의 경우 무증상 감염으로 바이러스를 전파시킬 위험성이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지난 11월 12일부터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닭, 오리 등 가금농장의 방역실태에 대한 점검을 추진 중이다. ‘고병원성 AI 현장점검반’이 지난 4주간(‘21.11.12. ~12.9.) 604개 가금 농장을 점검한 결과 67개 농장에서 방역관리 미흡 사항 95건을 적발하였다. 농장 전용 의복·신발 미착용, 전실 미설치·관리 미흡 등 기본 방역 수칙을 준수하지 않은 사례가 다수 확인되었으며, 이번 점검 결과 현재까지 확인된 주요 미흡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농장 출입 시 전용 의복·신발 미착용 *기본적인 방역 수칙 중 농가에서 가장 많이 위반한 사항임 ② 출입 차량·사람 및 농장 내부 소독 미흡 ③ 전실 미설치 또는 구획·차단 미흡 * 전실은 바이러스가 축사 내부로 침투하지 못 하게 하는 최후의 방역시설로 고병원성 AI 예방을 위해 설치·운영이 필수적임 ④ 야생동물 차단망 미설치 또는 관리 부실 ⑤ 울타리 파손·일부 구간 미설치 ⑥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고장 또는 영상 30일간 미저장 ⑦ 행정명령(출입통제) 및 공고(가금농장 준수사항) 위반 - 산란계 밀집단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