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작하며 양돈장에서 차단방역의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직접적인 양돈장 운영 중단 또는 폐쇄까지 이어질 수 있는 ASF, 2~3년마다 기승을 부리며 생산성적 상에 폭탄과 같은 손해를 끼치는 PED, 그리고 최근 가장 큰 이슈인 고병원성 북미형 PRRSV까지 모두 차단방역의 실패에 기인하는 질병들이다. 이렇게 굵직한 질병들을 포함해 사소한 모든 질병들 모두, 해당 병원체가 농장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외부 차단방역, 이미 농장 내로 유입된 것들에 대해서는 옆 돈사, 옆 돈방, 옆 돼지로의 전파를 최소화하기 위한 내부 차단방역을 통해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차단방역의 큰 항목들로는 먼저 외부 차단방역의 경우 돼지, 차량, 사람, 위치(환경), 사료와 음수, 이렇게 크게 다섯 가지 항목이 있다. 이 중 돼지와 차량을 가장 위험한 요소로 보고 많은 방역 절차를 수립하게 된다. 돼지는 질병을 매개하는 숙주 그 자체이며, 내 농장에 없는 질병을 체내에 직접 가지고 돈사 내로 들어올 수 있으므로 가장 위험한 요소라 볼 수 있다. 또한 차량도 관리가 잘되지 않는 경우, 바퀴나 화물칸 등에 대량의 유기물이 묻은 채로 하루에도 여러 농장을
강독성 PRRS에 대한 공포가 점점 더 확산하고 있다. 임신돈 번식피해와 육성비육돈 호흡기 피해가 발생할 때마다 PRRS 때문인지, 그리고 그 PRRS가 최근에 유행하는 강독성 PRRS인지를 확인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정확히 어느 정도까지 강독성 PRRS가 퍼져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사실 매우 어렵다. 어디까지 왔는지, 얼마나 강한지 정확한 정보가 부족한 상황에서 피해 농장들의 소문만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어 공포가 커지는 것 같다. 어느 정도 경각심을 가지고 질병에 대해 대비를 하는 것은 아주 바람직하겠지만, 공포가 너무 크면 비논리적·비이성적인 선택으로 오히려 더 큰 피해를 보게 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작년부터 지금까지 양돈업계의 많은 사람으로부터 강독성 PRRS와 백신을 통한 방어에 대해 교육/세미나를 해달라는 요청을 받았고 진행해 왔다. 이 지면을 빌어 그간 세미나를 해 오며 많이 받았던 관련 질문에 대해 질의 응답하는 형식으로 여러 궁금증과 논쟁점에 대한 의견을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 질문1 : 리니지1 PRRS가 무엇인가요? 리니지1 PRRS(Lineage 1 또는 L1 PRRS)는 일단 새로운 PRRS가 아니다. 최근 모돈 폐사까지 일으키는
1. 시작하며 기후변화가 가속화되며, 우리나라의 계절을 표현할 때 이제는 ‘4계절’이 아니라 ‘2계절’이 더 적합하지 않나 싶은 상황이 되어가고 있다. 무더웠던 여름이 지나가고 순식간에 겨울이 다가오고 있다. 여름 동안 자연스럽게 호흡기 피해가 잦아들었던 양돈장도 다시 돼지의 기침 소리에 긴장해야 하는 시기가 돌아왔다. 본고를 통해 춥고 건조해지는 환절기 호흡기 질환이 심해지는 여러 가지 이유, 특히 그중에서도 PRRSV(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뤄보고 어떤 접근을 통해 그러한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을지를 함께 생각해 보고자 한다. PRRSV가 농장에 한번 새로 들어오게 되면 음성화를 하는 것은 물론, 안정화를 통해 컨트롤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우리가 PRRSV에 대해 흔히 잘못 생각하는 내용이 있는데 바로, PRRSV를 죽이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오해이다. 하지만 사실 PRRSV는 돼지에 감염되지 못하고 외부 환경에 존재할 때는 굉장히 쉽게 파괴된다. (그림 1)을 보자. 습도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25~30℃ 환경에서 PRRSV의 반감기는 30분 미만이다. 예를 들어 100개의 PRRSV가 20분이 지나면 50개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