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국제곡물 2023년 8월호에서 곡물가격 하락 시기 구입한 물량 도입과 3~4분기 대미환율 하락 전망 등으로 국제곡물 수입단가지수는 연말까지 하락 지속 전망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흑해지역 공급 차질 우려와 북반구 주산지 생육 부진 우려는 하반기 선물가격 변동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7월 수입사료원료 가격지수는 전월 및 전년 대비 하락한 168.5로 나타났는데 이는 전월 대비 1.1% 하락한 것으로 대미환율은 0.5% 하락하였고 주원료인 옥수수와 밀, 박류(주정박, 전분박 등) 수입단가의 하락 영향이다. 또한 전년 대비는 15.2% 하락했는데 이는 대미환율이 전년 동월 대비 1.3% 하락하였고 사용 비중이 높은 옥수수와 대두박 수입단가는 각각 17.2%, 7.2% 하락한 영향이다. 7월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 동향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밀은 348달러/톤으로 전월 대비 1.3% 하락, 전년 대비 1.8% 상승, ▲옥수수는 335달러/톤으로 전월 대비 0.4% 하락, 전년 대비 17.2% 하락, ▲대두박은 578달러/톤으로 전월 대비 2.6% 상승, 전년 대비 7.2% 하락했다. 주 : 수입단가는 CIF(운임보험료 포함 가격) 금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국제곡물 2023년 6월호에서 3분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 지수는 158.8로 전 분기 대비 5.0%, 전년 대비 16.9% 하락 전망이라고 밝혔다.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 전망에서 2022년 4분기 이후 하락세로 올해 3분기 선물가격지수는 141.8로 전 분기 대비 3.6%, 전년 동기 대비 13.6% 하락 전망이다. 이는 전 분기 대비 미국 주요 곡물의 양호한 생육에 다른 공급량 증가 기대감, 세계 옥수수·콩 등 수급 개선 전망, 국제 유가 하향 조정 영향 등으로 하락 전망이다. 또한 전년 동기 대비 세계 경기 침체 우려 및 달러화 강세, 흑해지역 곡물 수출 재개 소식으로 하락 전환되었던 전년 동기 대비 추가 하락이 전망됐다. 5월 사료원료 가격지수 동향은 전월 및 전년 대비 상승한 176.0이다. 이는 전월 대비 0.5% 상승한 것으로 사료 주원료인 옥수수를 제외한 원료 수입단가는 대체로 하락하였으나 대미환율이 0.9% 상승한 영향이다. 또한 전년 대비 1.7% 상승했는데 이는 옥수수와 기타 박류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하락하였으나 대미환율이 전년 동월 대비 4.9% 상승한 영향이다. 5월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에서 ▲밀은 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