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경양돈농협 양돈클리닉센터에서는 양돈 질병 종합검진 사업을 통해 매년 조합원 농가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검사 항목에 대해 주기적으로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종합 검사를 통해 농장 질병 수준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대처로 농가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주고 있다. 2024년 호흡기 질병 발생 추이를 알아보고, 높은 일교차로 호흡기 질병에 취약해지는 환절기를 대비해 보도록 하겠다.
1. PRRS
(1) PRRS 타입별 항원 검출 비율
북미형 단독 감염농가 40%, 유럽형 12%, 혼합형 31%로 북미형→혼합형→유럽형 순으로 확인된다. 기존에 알려진 것처럼 북미형이 가장 우세하고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2) 일령별 발생 현황
일령이 증가할수록 북미형 출현율이 다소 감소하기는 하나 전 구간 북미형→유럽형→혼합형의 순서로 출현율이 나타난다.
(3) PRRS 감염시점 분포
일령별 감염시점 분석 시 50일령 전후가 54%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포유자돈 24%, 80일령 16% 순으로 50일령 전후로 감염이 가장 많이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일령별 항체 양성률
일령별 항체 양성률은 110일령과 140일령의 경우 각각 90%에 육박하는 양성률을 보이며 80일령 82%, 50일령 70%를 보인다. 포유자돈 구간 항체 양성률 85%는 대부분 모체 이행항체로 볼 수 있으며, 자돈 감염이 시작되는 50일령부터 일령이 증가할수록 항체가 높아지는 형태가 확인된다.
2. PCV2
(1) 항원 양성/음성 농가 비율
농장 기준 PCV2 항원 양성농가 비율은 60%로 음성농가 40% 대비 높은 수준이다. 대부분 농장에서 써코 백신을 하고 있음을 감안할 시 항원 양성농가 비율 자체는 무시할 수 없는 수치이다.
(2) 최대 항원량별 점유율
써코바이러스 항원량을 10X의 식으로 표현하는데 항원 음성농장(40%) 외 최대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는 구간은 103(21%)이며, 다음으로 102(19%), 104(10%) 순을 나타내고 있다. 105 이상 출현 비율은 6%이다.
(3) 일령별 항원 검출률
일령별 항원 검출률 분석 시 110일령 36%, 140일령 33%, 80일령 24%, 50일령 12%, 포유자돈 5% 순으로 110일령과 140일령 구간에서 항원 검출이 가장 빈번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일령별 항원 검출률 및 평균 항원양
일령별 항원 검출률 및 평균 항원양 분석 시 일령이 증가할수록 항원 검출률은 비례하는 패턴을 보인다. 반면 항원양은 일령과 반비례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어린 일령에 감염될수록 피해가 커질 수 있다. 일령이 증가할수록 항원 검출률은 증가하고 항원양 수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3. 마이코플라즈마
농가 기준 항체 양성률은 92%이다. 감염 시기별 점유율을 보면 50일령 감염이 40%, 80일령 25%, 110일령 13%, 140일령 14%로 일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
4. 흉막폐렴
농가 기준 항체 양성률 분석 시 양성농장은 45%, 음성농장은 55%로 나타난다. 110, 140일령 구간별 양성률을 보면 110, 140일령 모두 양성이 26%, 140일령 양성이 10%로 분석된다. 110일령 항체만 검출된 것은 9%로 확인된다.
5. 돼지인플루엔자
농장 기준 돼지인플루엔자 항체 양성 비율은 92%, 음성은 8%로 대다수 농장은 SIV 항체를 가지고 있다. 일령별 양성 비율은 포유자돈 87%, 50일령 70%, 80일령 70%, 110일령 69%, 140일령 76%로 포자구간 항체 양성률이 가장 높고, 나머지 구간은 140일령에서 약간 높으나 대체로 70% 정도의 항체 양성률을 보인다.
이렇듯 양돈장에서 각종 질병은 끊임없이 우리를 괴롭히고 있으며 호흡기 질병의 경우, 특히 환절기에 돼지에게 취약하여 위축, 폐사 등 큰 피해를 야기할 수도 있다. 2024년 호흡기 질병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환절기에 어떤 질병이 어떻게 문제가 될지 파악하고, 미리 대처하여 농장 수익성이 저하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월간 한돈미디어 2025년 10월호 57~61p 【원고는 ☞ jayvet33@pkpork.co.kr로 문의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