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료 내 마이코톡신 관리의 중요성
고온 다습한 여름철에는 사료 내 곰팡이 독소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특히 제랄레논(Zearalenone)은 에스트로겐 유사 작용을 통해 발정 이상 및 난소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곰팡이 독소의 주요 발생원은 사료통과 사료빈의 오염이며, 여름철에는 이들의 위생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 이에 따라 사료빈, 사료통 및 사료라인은 여름 전후로 철저하게 청소되어야 하며, 필요시 항곰팡이제를 사료에 첨가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사료 급여 전에는 잔존 사료를 제거하여 신선한 사료만이 급여되도록 관리하여야 하며, 자동 급이기를 사용하는 농장에서는 하루 4회 이상 사료통 청소가 권장된다.
2. 급수량 및 급수환경의 개선
모돈의 수분 섭취는 체온조절 및 사료 섭취량 유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여름철에는 특히 분만사 내 수온 및 수압 관리를 통해 모돈의 수분 섭취를 원활히 해야 한다. 급수기의 수압은 최소 분당 2L 이상이 유지되어야 하며, 수온은 상온 이하로 관리되어야 한다. 급수기의 위치 및 구조 또한 모돈이 편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특히 분만사와 교배사에서 사료 급여와 쿨링패드 가동 시간이 중첩되어 수압 저하가 발생하는 경우, 사료 급여 시간을 교차 배치하여 이러한 문제를 방지해야 한다.
3. 포유모돈의 사료 섭취량 증진
여름철에는 포유 중 체형 회복이 미흡한 모돈에서 수태율 저하가 자주 발생하므로, 분만 직후부터의 사료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분만 후 사료 급여는 일률적인 기준보다 개체별 상태에 따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만이 순조로웠고 회복이 빠른 개체는 조기에 사료를 증량해도 무방하며, 사료섭취 반응이 우수한 개체는 급이 횟수를 추가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초기 2~3일간의 사료 섭취량 관찰을 통해 개체별로 증량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체형 회복과 번식성적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4. 교배사 환경의 청결 유지
교배사는 번식 사이클의 핵심 장소로 여름철에는 특히, 청결 유지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고온 다습한 환경은 세균 및 곰팡이의 번식을 촉진하며, 이는 자궁 질병 및 수태 실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교배사는 항상 건조하고 밝은 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바닥의 물기 제거 및 분변 청소를 철저히 실시해야 한다. 다른 돈사보다 더 위생적인 환경 유지가 번식 성공률을 좌우할 수 있다.
5. 발정 체크 및 교배 타이밍의 관리
발정 체크는 번식성적을 좌우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특히 여름철에는 발정 신호가 약하게 나타날 수 있어 정밀한 관찰과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스톨보다 군사 환경에서 발정 확인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웅돈과의 직접 접촉을 통해 발정을 유도하는 방식이 보다 효과적이다.
발정 확인 시에는 1마리당 최소 1분 이상의 관찰 시간을 확보하고, 발정이 약하거나 미약한 개체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자극과 스트레스를 가하여 발정을 유도해야 한다. 특히 후보돈의 경우, 180일령 이후부터 웅돈과의 접촉을 시작하고 발정 유도를 위해 다양한 웅돈을 순차적으로 활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후보돈의 체형관리
여름철 고온 스트레스로 인해 체중 증가율이 떨어진 후보돈은 발정 지연 및 수태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후보돈의 체형관리는 여름철 번식 전략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균형 잡힌 영양 공급과 편안한 사육환경 제공을 통해 후보돈의 생리적 성숙을 촉진해야 하며, 발정 유도를 위한 웅돈 자극 또한 병행되어야 한다.
◇…◇…◇…◇
여름철 번식돈의 수태율 저하는 단순히 외부 기온의 영향만이 아니라, 사료 위생, 수분 섭취, 사양관리, 위생환경, 교배 전략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고온기에도 안정적인 번식성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료 내 독소관리, 급수 시스템 점검, 사료 섭취량 조절, 교배사 청결 유지, 정밀한 발정 체크 등 각 요소에 대한 전방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특히 개체별 반응에 따른 맞춤형 사양관리와 웅돈을 활용한 적극적인 발정 유도는 여름철 번식 성공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 작용할 수 있다.
월간 한돈미디어 2025년 8월호 75~77p 【원고는 ☞ porcinevet@naver.com으로 문의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