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9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사료비 및 증체 개선을 위한 급이기 바닥 내 사료 비율(Coverage) 관리 / 김광호 차장

김 광 호 차장 / 선진 양돈기술혁신센터 양돈생리영양팀

1. 시작하며

 

비육돈 관리에서 “사료 허실 방지”는 단순한 생산 원가 비용 절감의 문제를 넘어, 양돈업 환경 및 사육 규제가 강화되는 시점에서 생존을 위한 핵심 관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도 현장을 방문하면 급이기에서 과다 토출되거나 곤죽 형태로 방치되는 사례가 다수 발견되고 있다. 2024년 축산물 생산비 기준에 따르면, 생산 원가의 56.3%를 차지하고 있는 사료비는 생산 원가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일부 농가에서는 사료 허실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불필요한 생산 원가 증가로 이어지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2023년 선진 계열 농장에서 진행한 비육장 FCR 개선을 위한 핵심 지표 설정 및 영향도 평가 연구에서 증체에 영향을 미치는 47개 요인 중 “급이기 및 급수기 요인”이 핵심 관리 기준으로 선정되었다. 이에 본 고에서는 농장에서 쉽게 접목할 수 있지만 개선 효과가 높은 급이기 바닥 내 사료 비율 관리를 소개하고 현장에서 운영할 수 있는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 급이기 바닥 내 사료 비율(Coverage)과 관리 중요성

 

급이기 바닥 내 사료 비율의 정의는 “급이기 바닥 부분을 사료로 덮은 비율”이라고 정의 내릴 수 있고, 용어가 긴 관계로 “Coverage”라고 줄여서 표현하고자 한다.

 

 

 

급이기 Coverage의 비율 관리에 따라서, 비육돈의 섭취 및 증체가 달라질 수 있기에 기준량의 설정은 매우 중요하다. 선진 연구에서 비육돈 50% coverage 운영 시 체중의 3.5~4% 목표 섭취량을 달성할 수 있었다(사진 1). Coverage가 너무 낮을 때(10%) 섭취 제한이 발생하고, 반대로 너무 높으면(100%) 허실 및 변패의 문제가 발생하기에 Coverage 50% 운영 시 최적 섭취 및 증체를 기대할 수 있다(사진 2).

 

3. 여름철 섭취 증대 개선 효과

 

2024년 성적 저하 농장의 증체 저하 요인을 발굴하고 개선하기 위한 현장 운영 평가를 진행하였는데, 사전 점검 시 Coverage를 10% 관리하는 농장이 다수 관찰되었다. 이들 농장을 대상으로 권장 Coverage 50% 확대 운영 결과 전년 대비 두당 섭취량이 +0.3kg/일, 일당 증체량 +70g/일 증가하여 비육 사육일이 16일 단축되었다(표 1). 이는 Coverage 확대가 여름철 섭취 기회 증가로 이어져 증체가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FCR 개선 효과

 

Coverage 비율을 권장 수준인 50% 운영 시 비육돈 FCR이 손쉽게 0.1~0.2 개선되는 것이 관찰되었는데, 이를 적용한 Coverage 개선 예상 효과는 다음과 같다. Coverage를 80%에서 50%로 조정 운영 시 출하 시까지 FCR 0.1 개선에 따라 두당 사료비를 5.7천원/두 절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2).

 

 

5. 마치며

 

경기 불황에 따른 돈육 소비 부진, 수입산 돈육의 가격 경쟁 심화 등 외부 요인과 역대 최장 폭염에 따른 사육일 지연, PRRS 및 PED 등 상재 질병에 따른 생산성 저하 등의 내부 요인은 한돈농가의 경영을 더욱 힘들게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료비는 농가의 생존을 위협하는 주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한돈농가의 경쟁력을 올리기 위해서는 생산성 향상뿐만 아니라 생산 원가를 절감하는 체계적인 노력이 중요하다.

 

본 고에서 제시한 Coverage 관리 기술은 전문성이 있어야 하지 않지만, 생산 원가를 줄이고 본인이 인지하지 못한 돼지의 섭취량을 끌어 올릴 수 있는 필수 핵심 관리 방안이라고 할 수 있겠다. 지금이라도 허실 위주의 관리가 아닌 돼지의 성장에 최적화된 Coverage를 설정하여, 생산 원가 절감과 증체 효과를 올리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으시길 바란다.

 

■ 출처

1. 통계청, 축산물 생산비 조사, 2022~2024

2. 양돈기술혁신센터, 비육장 FCR 개선을 위한 핵심 지표 설정 및 영향도 평가, 2023

3. 양돈기술혁신센터, 비육장 ADG 850g 달성을 위한 현장 운영 연구, 2024

 

 

월간 한돈미디어 2025년 9월호 74~76p 【원고는 ☞ ghkim3@sunjin.com으로 문의바랍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