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6 (목)

  • 맑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17.9℃
  • 맑음서울 17.8℃
  • 맑음대전 19.6℃
  • 맑음대구 20.7℃
  • 맑음울산 17.9℃
  • 구름많음광주 20.8℃
  • 구름많음부산 20.4℃
  • 구름조금고창 18.5℃
  • 맑음제주 20.6℃
  • 구름조금강화 16.7℃
  • 맑음보은 18.5℃
  • 맑음금산 19.4℃
  • 구름조금강진군 21.0℃
  • 맑음경주시 20.0℃
  • 구름조금거제 16.4℃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종돈개량 관련 용어, 이 정도는 알고 가자. / 최임수 박사

최 임 수 박사 / 한국종축개량협회 종돈개량부

우리는 돼지 개량을 위해 우수한 종돈을 원한다. 우수한 유전자원이 좋은 후대를 남기기 때문이다. 종돈을 개량하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것이 있다. 우수한 종돈을 선발·도태 및 계획적으로 교배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을 위해 종돈의 등록, 검정, 유전체 등 개체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아는 것이다. 이 정보는 우수한 종돈을 선발하거나 능력이 떨어지는 모돈을 도태 후 우수한 후대축 생산을 위해 계획적으로 교배하는 모든 것의 기초가 된다.

 

‘종돈개량’ 특히 종돈에 관한 용어를 잘 몰라 혼란을 가져오는 경우가 적지 않다. 업계에 종사하는 많은 사람이 용어를 잘 못 이해하거나 심지어 잘 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앞에서 설명한 종돈개량을 위해 알아야 할 중요한 용어를 설명하고자 한다. 종돈의 등록, 검정 및 선발 등에 대한 용어 위주로 설명을 하고자 한다.

 

1. 종돈의 의미

 

종돈이란 넓은 의미와 좁은 의미로 나누어진다. 좁은 의미로 종돈은 순수한 품종의 개체(종돈 등록기관에 품종(랜드레이스, 두록, 요크셔 등)으로 등록된 것)를 의미한다. 넓은 의미의 종돈은 순수한 품종의 개체와 그 외 번식용씨돼지(등록기관에서 등록(혈통확인)된 개체)를 뜻한다. 번식용씨돼지는 순종돈이 아닌 개체를 말한다. 번식용씨돼지는 F1과 교잡돈(번식용 중 F1을 제외한 것) 전부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복잡할 수 있어 많은 이들이 개념이 헷갈릴 수 있다. 다시 말해 번식용씨돼지는 순종돈 외의 모든 돼지를 의미한다.

•광의의 종돈 : 순종돈+번식용씨돼지(F1+교잡종)

•협의의 종돈 : 순종돈

 

2. 종돈 등록

 

종돈이라고 하더라도 종돈 등록기관에 등록하지 않으면 종돈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한국종축개량협회에서는 순종돈에 대해서는 혈통등록을 번식용씨돼지에 대해서는 혈통 확인을 하여 등록을 한다. 등록(혈통 확인)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태어난 지 2개월 이내 복당 등록을 하는 자돈등기를 실시한다. 순종돈의 경우 자돈등기 후 농장 선발 및 판매돈에 대해서는 혈통등록을 하는데 자돈등기를 하지 않고 등록을 할 수 있지만, 이 경우 등록비용은 높아진다.

•순종등록 : 자돈등기(태어난 지 2개월 이내 복당 가등록) - 혈통등록 - 고등등록

•번식용씨돼지 혈통증명 : 등기확인(자돈등기) - 혈통 확인

 

 

 

종돈장 등은 의무적으로 종돈이력을 의무적으로 하게 되어있다. 종돈장 및 AI센터에서 사육되고 있는 종돈(순종돈 및 번식용씨돼지)에 대하여 출생신고, 폐사신고, 양도양수신고, 사육신고를 하여야 한다. 종돈의 출생신고는 출생일이 아니라 종돈 등록일이다. 종돈에 관련된 신고는 종돈의 혈통 및 이력관리시스템(http://eswine2.aiak.or.kr/)에 접속하여 입력할 수 있다.

 

3. 종돈 검정

 

돼지검정은 농식품부 고시 제2024-82호 가축검정기준(24.10.31) 중 돼지검정기준에 의거 시행하고 있다. 돼지검정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산자검정은 원종돈을 대상으로 한배새끼의 분만일로부터 자돈의 이유 시까지 실시하는데 조사항목과 그 용어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4. 종돈의 선발 및 도태

 

우리는 돼지를 선발하기 위한 중요한 일이 있다. 무슨 일인가 생각해 보자. 선발을 위한 자료다. 그냥 자료가 아니다. 정확히 기록을 하고 측정한 자료이다. 우리가 원하는 씨돼지를 고르기 위한 초석이 된다. 새끼를 많이 낳는 씨돼지를 선발하고 싶다면 가장 많은 새끼를 낳은 돼지를 선발하면 된다. 선발방법은 간단하지만, 기록은 귀찮다. 귀찮은 것을 이겨낼 때 우리는 좋은 돼지를 선발할 수 있다.

 

그런데 산자수 뿐만 아니라 돼지 등지방 두께, 증체량에 대하여 3개 형질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면 어찌하여야 할까? 3가지 형질에 대하여 중요도(가중치)를 두어 선발지수식을 만들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 개체를 선발하면 된다. 농가에서는 가중치를 두기도 쉽지 않다.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우리는 농장검정한 데이터를 근거하여 씨돼지를 선발할 수 있는 선발지수식을 이용하면 된다. 이 선발지수는 가축 검정기준 ‘돼지검정기준’에 나와 있는 선발지수식이다.

 

선발지수는 부계와 모계와 나눈다. 부계선발지수는 성장형질(105kg 도달일령, 등지방 두께)만을 모계는 성장형질과 모계형질(산자수)를 이용한다. 모돈의 등지방이 너무 얇아 문제가 많다는 업계의 요청으로 종돈 선발 시 등지방을 두껍게 또는 얇게 하더라도 가중치를 낮게 주게 되었다. 선발지수에 등지방을 제한한다고 하여 제한선발지수, 등지방을 얇게 하는 가중치를 주는 일반선발지수로 구분한다.

 

(표 1)은 농장검정용 부계선발지수는 일반에는 품종에 두록, 랜드레이스, 요크셔와 재래돼지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부계일반 두록의 경우 100을 기준으로 105kg 도달일령(개체-동기동군의 평균) 가중치는 0.87과 등지방 두께(개체-동기동군의 평균)의 가중치는 0.40을 이용하여 (표 1)의 식에 넣어 계산한다. 동기군은 선발하려는 돈군에서 품종과 성별이 같음을 의미한다. 선발하려는 여러 개체를 (표 1)의 식에 넣어 선발지수를 계산하고 가장 높은 값을 가지는 개체부터 선발하면 된다.

 

 

(표 2)는 모계선발지수에 대한 선발지수식이다. 구분은 일반과 제한으로 품종은 두록, 랜드레이스, 요크셔 3품종에 대한 적용된다. 부계지수와 다르게 모계에서는 산자수에 대한 형질을 포함하여 선발지수식에 이용한다. 예를 들어 요크셔의 암퇘지를 등지방을 조금 두껍게 선발하려고 하면 모계제한선발지수를 이용할 수 있다. 모계일반 요크셔의 경우 100을 기준으로 105kg 도달일령(개체-동기동군의 평균) 가중치는 0.12, 산자수(개체-동기동군의 평균)에 대한 가중치는 0.96, 등지방 두께(개체-동기동군의 평균)의 가중치는 0.03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선발하려는 여러 개체를 지수식에 넣어 선발지수를 계산하고 가장 높은 값을 가지는 개체부터 선발하면 된다.

 

 

본회에서는 표현형 선발지수와 별도로 매주 유전능력을 평가하여 형질별 육종가를 선출하는 데 이를 이용하여 (표 3)의 육종가 선발지수를 적용한다. 선발지수는 1개 농장을 1개 돈군으로 하고 기본단위는 품종별, 성별로 평가한 후 부계지수, 모계지수로 분리하여 지수값을 산출한다.

 

 

 

끝으로 이번 축산법 시행령 개정(9.2) 내용 중 돼지인공수정센터 씨수퇘지 능력기준 변경내용을 알려드리오니 참고하시기 바란다. 필자가 지난번 원고에 두록종에서 산자수 기준이 있어 특이하다고 하였는데, 산자수가 필요 없다는 의견을 수렴하여 산자수 형질은 기준에서 제외되었다. 변경된 내용은 (표 4)에 나타내었다.

 

 

월간 한돈미디어 2025년 11월호 83~88p 【원고는 ☞ agape7601@naver.com으로 문의바랍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