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지난 11월 대설피해 현장을 장․차관 등 간부 중심으로 점검하고 관계부처와 지자체, 농협, 농촌진흥청 등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업하여 피해가 많은 축산분야의 신속한 복구를 추진한다. 지난 11월 26일부터 28일까지 기상 관측 이래 117년 만의 이례적인 대설로 경기, 강원, 충청, 전북 등 지역에서 시설하우스와 축사 파손․붕괴 등 큰 피해가 발생하였다. * 피해 현황(12월 4일 기준) : 시설하우스 7,841동(약 1,047㏊), 농작물 약 140㏊, 인삼시설 약 670㏊, 과수시설 약 236㏊, 축사 1,964동(약 46㏊), 가축 약 52만5천두 등 피해를 입은 축산농가와 관계자들은 “무너진 축사 등 시설복구가 신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복구비와 보험금이 빠르게 지급될 필요”가 있다면서 “시설 철거에도 많은 비용이 든다며 철거 비용의 정부 지원”과 함께 “필요한 인력과 중장비 등 복구 장비 및 물품 지원”을 요청하였다. 또한 “축사시설을 기존 설계도대로 다시 짓게 되는 경우 건축허가 절차를 생략하거나 간소화해 줄 것”과 함께 “고장난 축산장비에 대한 긴급 수리가 필요”하다는 등의 애로사항을 건의하였다. 이와 함께 이상기후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2025년 예산이 18조7,416억원으로 확정되었다고 밝혔다. 국회에서 확정된 농식품부 예산은 2024년보다 2.2%(4,024억원) 증액된 규모이며 정부안(18조7,496억원)보다는 80억원 감액된 것이다. * 농식품부 예산 추이 : (’23) 17조3,574억원 → (’24) 18조3,392억원 → (’24) 18조7,416억원 농식품부는 ▲농업인 소득·경영안전망 강화, ▲농촌소멸 대응 및 공간 재생, ▲농식품산업 성장동력 확충, ▲농축산물 수급안정 및 식량안보 강화 등 주요 농정과제 성과 창출을 위한 분야에 중점을 두고 2025년 예산을 편성하였으며,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서는 내년도 집행이 불투명하여 조정이 필요한 사업 중심으로 예산이 일부 감액(-80억원)되었다. * 반려동물연관산업수출산업화(-40억원), 동물용의약품산업종합지원(-20억원), 푸드서비스 선진화(-14억원) 등 농식품부는 2025년 예산이 농업·농촌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농업·농촌이 국민 모두에게 열린 기회의 공간으로 거듭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사업추진에 필요한 절차를 조속히 준비하는 등 예산 집행을 위한 준비를 철저히 할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올해 럼피스킨이 발생한 소 사육농가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 다수의 방역 미흡 사항이 확인되어 살처분 보상금 감액과 과태료를 부과할 계획이다. 또한, 향후 럼피스킨 발생 차단을 위해 농가 스스로 기본 방역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지난 8월 12일 경기도 안성 소재 한우농장에서 럼피스킨이 발생한 이후 지금까지 7개 시‧도 19개 시‧군 소재 한우 및 젖소 사육농장에서 총 23건이 발생하였다. * 럼피스킨 발생 현황(‘24.8.12.~12.9.) : (대구) 군위‧동구, (경기) 안성‧이천‧여주‧평택, (강원) 양구‧양양‧고성‧인제‧원주, (충북) 충주‧보은, (충남) 당진‧아산, (전남) 여수‧영암, (경북) 상주‧문경 농식품부는 럼피스킨이 발생한 소 사육농장 23호에 대한 역학조사를 실시 중이며, 21호 농가에서 백신 미접종, 소독 미실시, 신발소독조 미설치, 출입기록부 일부 미기재, 차량소독기 미설치, 소독설비 미설치 등 위반사항이 발견되었다. 이에 따라 농가별로 살처분을 한 개체에 대한 보상금을 최소 5%에서 최대 30%까지 감액하여 지급할 계획이다. 또한 보상금 감액과는 별개로 일부 농가(12호)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지난 12월 8일 전라남도 여수시 소재 한우농장(45마리 사육)에서 피부결절 등 의심증상 신고에 따른 정밀검사 결과 럼피스킨 양성이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럼피스킨 전파 방지를 위해 해당 농장에 초동방역팀과 역학조사반을 파견하여 외부인․가축․차량의 농장 출입을 통제하고 있으며, 역학조사와 함께 해당 농장에 대해서는 긴급행동지침(SOP)에 따라 이동제한, 임상검사 등의 방역조치를 할 계획이다. 아울러 겨울철 기온 하강에 따른 매개곤충 활동저하, 백신 접종에 따른 집단면역 형성 등을 고려하여 발생농장의 살처분 유예 개체를 강화된 방역 조치*하에 격리하고 28일간 임상관찰 등 위험도 평가를 추진하여 이동제한 해제를 검토한다. 한편, 발생농장, 방역대 소재 소 사육농가 및 역학 농가에 대해 이동제한과 함께 임상검사를 한다. * ① 농장 내 전파 차단을 위한 분변 제거, 방제․소독 강화 ② 격리 축사 매개곤충 유입 차단(방충망 설치 등) ③ 임상검사(주 2회) 및 정밀검사(주 1회) 등
■ 전체적 불경기 속 럼피스킨 백신 ‘신수요 활짝’ ASF 백신 ‘안전성에 발목’ … 구제역 백신 ‘유전자재조합 주목’ 한해 동물약품 시장 최대변수 중 하나는 질병이다. 질병 발생·확산 여부에 따라 해당 동물약품 시장이 활성화되기도 움츠러들기도 한다. 지난해(2023년) 하반기 국내 동물약품 시장에서는 없었던 시장이 하나 생겨났다. 바로 럼피스킨 백신 시장이다. 지난해 10월 럼피스킨이 국내에 첫 발생, 방역당국에서는 럼피스킨 백신 긴급공수에 들어갔다. 적지 않은 물량이 수입됐다. 올해(2024년)도 럼피스킨 백신 수요는 이어졌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월 435만두 분량 럼피스킨 백신 구매 입찰을 했다. 소 전두수 접종 분량이다. 백신 구매 입찰 결과 코미팜이 납품업체로 최종 선정됐다. 하반기에도 50만두 분량의 럼피스킨 백신 추가구매 입찰이 진행됐다. 모기, 침파리 등 럼피스킨 매개체를 구제할 수 있는 살충제, 구충제 시장도 활기를 띠었다. 강력한 럼피스킨 방역에도 불구하고 럼피스킨은 간헐적으로, 그리고 지속해서 터져 나왔다. 백신 접종 등 더 꼼꼼한 방역이 요구된다. 아프리카돼지열병(ASF)도 올해 내내 짙은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웠다. 올해 들어서 1
1. 악성 질병 발생, 노심초사하는 농심 국내 종돈산업을 말하자니 돼지 질병에 관한 언급을 해야 한다. 우리나라 우수유전자를 가진 종돈이 질병 발생으로 인해 한순간 땅속에 무치는 참혹한 결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악성 질병 중 국내에서 문제가 심각한 건 PRRS, 구제역,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등이지만 ASF 발생 현황에 대하여 알아보자. 2019년 9월 17일 경기도 파주시 소재 양돈농장에서 어미돼지 5두가 폐사 신고 접수되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정밀검사 결과 국내 최초로 ASF 발생이 확인되었다. (표 1)을 보면 2019년 최초 발생일로부터 2024년 11월 현재까지 18개 시군 48개 농장에서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야생 멧돼지의 경우는 2024년 9월 말 현재 4,166건의 발생 현황이 보고되었으며 이후에도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도간 방역대가 형성되어 종돈 및 비육돈 이동 등 여러 가지 제약을 받아 원활한 종돈 판매 및 비육돈 출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환적장이 경기 이천(전 한돈협회 능력검정소)에 1곳이어서 더욱더 불편하다. 전북에서 경북으로 돼지 이동 시 전북에서 환적장이 있는 이천으로 이동하고 돼지를 받는
국내 축산업은 높은 사료비와 농촌 고령화, 악취(분뇨) 환경문제, 가축질병 외에도 경영비 절감, 탄소저감, 동물복지 확산 등 중대한 현안을 안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축산의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축산분야 ICT 융복합 확산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축산은 ICT를 기반으로 한 센싱기술과 4차산업 기술이 적용된 IoT 장비를 활용한다고 볼 수 있다. ICT 장비로 축산환경을 제어하고 가축 행동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이상 징후 발생 시 즉각적인 조치뿐 아니라 선제 대응도 가능하다. 또한 수집된 정보는 다각도 알고리즘 분석으로 구조적인 농장의 현안을 해결할 수도 있다. 본 고에서는 2024년 축산분야 ICT 융복합 확산사업의 성과를 점검하고 양돈분야의 스마트축산 성과와 발전 방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 스마트 장비 보급확산 국내 축산농가에 개체관리가 가능한 생체인식 센서를 기본으로 사양·경영분석, 분뇨·악취저감, 농장 환경 컨트롤 및 에너지 효율화 등 관련 ICT 장비가 확산·보급되고 있다. 2014년부터 시작된 축산분야 ICT 장비 보급은 2023년 전업농가 기준 약 23.1% 수준이며 정부는 2027년까지 40%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ICT 장비
3년 연속 연 5천원 이상의 돈가를 기록할 올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폭등하는 곡물가로 인한 거듭된 사료가격 인상으로 2022년과 2023년의 비육돈 두당 수익은 조금씩 낮아져 왔다. 그렇다면 완전히 코로나의 영향에서 벗어난 첫해인 2024년은 어땠을까? 고물가, 소비 둔화, 그리고 환경규제 변화 등 다양한 요소가 한돈농가의 경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2024년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2024년에 주요하게 바뀐 환경적 변화를 이야기하고 후에 한돈산업의 상황과 과제에 대해 짚어보려 한다. 1. 2024년 한돈산업 이슈 (1) 경제 환경의 변화 한국은행의 기준 금리는 10월에 한 번 인하되어 3.25%가 되었다. 미국의 빅컷(0.5% 금리 인하)과 추가 0.25% 인하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부동산값 폭등에 대한 공포 때문에 0.25%만 인하되었다. 연초에 금리를 6~8번까지 내릴 수 있다는 전망은 온데간데없이 한 번의 인하만 실시되었다. 계속되는 고금리 상황은 자금을 융통 받아 농장을 운영하는 농가에 많은 영향을 끼쳤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지갑을 닫게 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돼지고기 가격 형성의 중심축이 공급에서 소비로 옮겨가고 있는 만큼, 소비 둔화는